입법계품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마지막 품으로 총 21권으로 이루어진 화엄경 39품 중 가장 방대한 품이다. 이 중 한 권 반은 근본법회(根本法會)이고 나머지는 지말법회(枝末法會)로 구성되었는데 근본법회는 법계에 들어간 상태에서의 결과적인 내용을 밝혔고, 지말법회는 법계에 들어가는 과정으로서의 원인을 밝힌 것으로 근본법회가 전체적인 내용이라면 지말법회는 개별적인 내용이다.
선재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다니며 보살행을 배우고 부처의 법계에 들어가는 구도 과정을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는데 총 110개의 성을 여행하며 53명의 선지식을 만나 각각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 등 단계별 수행법을 배우는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흥미진진한 품이다.
입법계품(入法界品) [2]는 입법계품 [1] 에 이어 근본법회가 이어진다. 먼저 보현보살이 열 가지 법의 글귀로 삼매를 설하고 이를 게송으로 다시 설하자 부처님께서 여래의 사자 기운을 뻗는 광대한 삼매에 머물하게 하려고 미간의 백호상으로부터 큰 광명을 놓아 모든 부처님 국토를 두루 비추었다. 이어 문수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시방을 관찰하고 서다림의 일을 거듭 펴려고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이것으로 근본법회는 끝이 나고 지말법회로 이어지는데 드디어 선재동자가 53 선지식을 찾아 남쪽으로 구법 여행을 시작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여행을 시작하며 첫 번째로 만난 선지식은 바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이다. 문수사리동자가 여러 도반들과 남쪽으로 향하자 사리불존자가 육천 비구와 함께 문수보살을 따르고 이어 사리불존자가 문수보살의 공덕을 찬탄한다. 이어 비구들이 문수보살을 친견하자 문수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설하여 비구들에게 권하여 보현의 행에 머물게 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