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3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224 정가 15000 사양 ISBN 수상내역 도서구매 사이트 도서소개 저자 목차 편집자 리뷰 『화엄경』제53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1]이 수록되었다.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제53권에는 먼저 기세간과 지정각세간과 중생세간의 원만함에 대해 밝히고 이어 보현보살이 삼매에 들었는데 이때의 장엄하고 환희로움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이름이 ‘불화장엄’이라 이 삼매에 들었을 때 시방에 있는 일체 세계가 여섯 가지 열여덟 모양으로 흔들리며 큰 소리를 내니, 모두 듣지 못함이 없었다. 그런 뒤에 그 삼매에 서 일어났다.” 이어 십신행법의 20가지 질문, 십주행법의 20가지 질문, 십행행법의 30가지 질문, 십회향행법의 29가지 질문, 십지행법의 50가지 질문, 등각위의 32가지 질문, 묘각위의 19가지 등 총 200가지의 질문한 내용을 낱낱이 밝히고, 이어 십신행법의 20가지, 십주의 20가지, 십행의 30문에 답하는 내용까지 53권에 담았다. 호거산 운문사에서 성관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석암 대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월하 전계사를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계룡산 동학사 전문강원을 졸업하였으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가산지관 대종사에게서 전강하였고,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와 동학승가대학 학장 및 화엄학림학림장, 중앙승가대학교 법인이사를 역임하였다.현재 수미정사 주지로 주석하며 동국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저·역서로 『의상화엄사상사연구』, 『화엄의 세계』, 『정선 원효』, 『정선 화엄 1』, 『정선 지눌』, 『법계도기총수록』, 『해주스님의 법성게 강설』 등 다수가 있다. 38. 이세간품(離世閒品) [1] 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