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여래출현품 총 세 권 중 두 번째 권에는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이 이어지는데 이 중 세 번째, 여래의 어업에 답하는 내용과 네 번째, 여래의 의업에 답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여래의 어업을 모두 밝히고, 어업의 열 가지 비유를 들었다. 어업이란 여래의 음성을 말하는데 여래의 음성은 한량없는 모든 음성에 두루하므로 음성이 두루 이르는 줄을 알아야 함을 밝히고 다음과 같이 열 가지 비유를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첫째, 여래의 음성은 한량이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주재가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보여 주는 것도 아니고 보여 줌이 없음도 아님을 세계가 무너질 때 나는 소리로써 비유을 들었다.
둘째, 메아리, 셋째, 모든 하늘의 법의 북, 넷째, 자재천의 선구라는 채녀, 다섯째, 대범천왕, 여섯째, 여러 물의 맛, 일곱째, 용왕이 일으키는 구름, 여덟째, 마나사용왕이 비를 내림, 아홉째, 분별이 없는 물, 열째, 용왕이 큰 구름을 일으키는 등에 비유하였다. 이처럼 여래의 음성은 법계와 같이 한량없으며 중생계와 같이 한량없으며 모든 업과 같이 한량없고 번뇌와 같이 한량없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여래의 의업에 답하는 내용으로 먼저 의업을 모두 밝히고 의업의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의업이란 마음과 뜻과 의식을 모두 일컫는 말로 여래의 정신적 작용을 뜻한다.
열 가지의 비유는 허공이 의지하는 바, 법계의 더하고 덜함, 바닷물의 분별없음, 보배구슬의 덕, 바다의 네 가지 치성한 광명, 허공의 분별없음, 설산 정상의 약나무, 겁말의 불, 바람, 걸림 없는 지혜의 나타남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