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3권에서는 지혜의 근본인 열 가지 삼매 중에서 열 번째 걸림 없는 바퀴(無礙輪) 삼매를 설하고 있다.
걸림 없는 바퀴 삼매는 그 이름이 걸림이 없는 삼매이기 때문에 이 삼매에 들어가면 걸림이 없는 말과 뜻의 업에 머물게 된다. 또 걸림이 없는 신구의 삼업에 머물고, 걸림 없는 땅에 머물게 되는데 삼업이 걸림이 없고, 땅이 걸림이 없다면 더 이상 걸릴 것이 없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삼매에 들 때의 방편과 삼매에 머문 뒤의 지혜의 작용, 부처님의 공덕의 포섭함을 설하고 보살의 지혜를 비유로 나타내었다.
이어 의과의 수승함과 정보의 자재함을 밝히고 형상 없는 법을 통달하고 부처님이 머무시는 곳과 부처님의 평등한 도리에 머물고 장애 없는 곳에 이르게 됨과 삼매의 이익을 밝혔다.
이것으로 총 4권에 이르는 십정품의 긴 법문이 끝이 났다. 열 가지 삼매란 첫째, 보광명 대삼매, 둘째, 묘광명 대삼매, 셋째, 차제변왕제불국토신통 대삼매, 넷째, 청정심심행 대삼매, 다섯째, 지과거장엄장 대삼매, 여섯째, 지광명장 대삼매, 일곱째, 요지일체세계불장엄 대삼매, 여덟째, 일체중생차별신 대삼매, 아홉째, 법계자재 대삼매, 열째, 무애륜 대삼매로 십정품에서는 불법의 수행에서 삼매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설한 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일체지혜를 성취하려면 반드시 선정을 먼저 닦아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십정품의 법문이다.
호거산 운문사에서 성관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석암 대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월하 전계사를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계룡산 동학사 전문강원을 졸업하였으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가산지관 대종사에게서 전강하였고,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와 동학승가대학 학장 및 화엄학림학림장, 중앙승가대학교 법인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수미정사 주지로 주석하며 동국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역서로 『의상화엄사상사연구』, 『화엄의 세계』, 『정선 원효』, 『정선 화엄 1』,『정선 지눌』, 『법계도기총수록』, 『해주스님의 법성게 강설』 등 다수가 있다.
27. 십정품(十定品) [4]
해주 스님의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사경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읽고 쓰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사경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
사경본은 동시에 발간된 독송본에 수록된 한글역을 사경의 편의를 위해 편집을 달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글 번역만 수록되었다. 사경을 마치면 한 권의 한글 독송본이 되므로 원문 없이 한글 독송만을 원하면 사경본만 갖추어도 된다.
한글역은 독송과 사경이라는 책의 역할을 고려하여 읽고 쓰면서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글자 크기를 키워 피로도를 줄이고 독송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
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