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3권에서는 지혜의 근본인 열 가지 삼매 중에서 열 번째 걸림 없는 바퀴(無礙輪) 삼매를 설하고 있다.
걸림 없는 바퀴 삼매는 그 이름이 걸림이 없는 삼매이기 때문에 이 삼매에 들어가면 걸림이 없는 말과 뜻의 업에 머물게 된다. 또 걸림이 없는 신구의 삼업에 머물고, 걸림 없는 땅에 머물게 되는데 삼업이 걸림이 없고, 땅이 걸림이 없다면 더 이상 걸릴 것이 없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삼매에 들 때의 방편과 삼매에 머문 뒤의 지혜의 작용, 부처님의 공덕의 포섭함을 설하고 보살의 지혜를 비유로 나타내었다. 이어 의과의 수승함과 정보의 자재함을 밝히고 형상 없는 법을 통달하고 부처님이 머무시는 곳과 부처님의 평등한 도리에 머물고 장애 없는 곳에 이르게 됨과 삼매의 이익을 밝혔다.
이것으로 총 4권에 이르는 십정품의 긴 법문이 끝이 났다. 열 가지 삼매란 첫째, 보광명 대삼매, 둘째, 묘광명 대삼매, 셋째, 차제변왕제불국토신통 대삼매, 넷째, 청정심심행 대삼매, 다섯째, 지과거장엄장 대삼매, 여섯째, 지광명장 대삼매, 일곱째, 요지일체세계불장엄 대삼매, 여덟째, 일체중생차별신 대삼매, 아홉째, 법계자재 대삼매, 열째, 무애륜 대삼매로 십정품에서는 불법의 수행에서 삼매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설한 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일체지혜를 성취하려면 반드시 선정을 먼저 닦아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십정품의 법문이다.
호거산 운문사에서 성관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석암 대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월하 전계사를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계룡산 동학사 전문강원을 졸업하였으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가산지관 대종사에게서 전강하였고,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와 동학승가대학 학장 및 화엄학림학림장, 중앙승가대학교 법인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수미정사 주지로 주석하며 동국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역서로 『의상화엄사상사연구』, 『화엄의 세계』, 『정선 원효』, 『정선 화엄 1』,『정선 지눌』, 『법계도기총수록』, 『해주스님의 법성게 강설』 등 다수가 있다.
27. 십정품(十定品) [4]
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
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
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