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십지품(十地品) [6]은 십지의 마지막 법운지(法雲地)를 설하고 있다. 법운지 보살은 여래를 대신해서 여래의 책임과 의무를 낱낱이 수행하는 보살이다. 불교에는 수많은 보살이 있지만 법운지에 도달한 십지 보살을 특별히 보살마하살이라고 한다.
이 품에서는 먼저 법운지를 설하고, 십지의 공덕을 비유로 밝힌 후 십지의 이익을 나타내었다.
법운지에 오른 보살이 생각하기를, ‘내가 마땅히 일체 중생들 가운데 상수가 되며, 수승한 이가 되고, 내지 일체지의 지혜에 의지하는 자가 될 것이다.’라고 했다. 이러한 생각은 모든 수행하는 사람이 보다 많은 사람들을 잘 교화하고 싶은 원력에서 가져보는 마음이다.
법운지 보살은 다음과 같이 십지의 법을 설하여 마치면서 그 공덕이 다함이 없음을 말하여 결론지었다.
“만약 부지런히 정진을 하면 한 생각 사이에 열 개의 말할 수 없는 백천억 나유타 부처님 세계의 미세한 티끌 수의 삼매를 얻으며, 내지 그러한 바 미세한 티끌 수의 보살들을 권속으로 삼음을 나타내 보인다. 보살의 수승한 원력으로 자재하게 나타내 보이면 이 수를 넘어서니, 이른바 수행과 장엄과 믿고 이해함과 짓는 일과 몸과 말과 광명과 모든 근과 신통 변화와 음성과 행하는 곳을 내지 백천억 나유타 겁에도 세어서 알 수 없다.”
이로써 보살 수행의 단계에 도달하는 경지를 단계적으로 설명한 십지품(十地品)을 모두 설해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