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품(十地品) [5]에서는 제8 부동지(不動地)와 제9 선혜지(善慧地)를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부동지(不動地)란, 수행이 완성되어 흔들림 없는 경지에서 저절로 보살행이 이루어지는 경지를 말한다. 이 경지에 들어서면 몸과 마음이 안온하고 편안해진다고 한다,
보살마하살이 이 지에 머물러서는 흔히 대범천왕이 되어 천 세계를 주관하며, 가장 훌륭하고 자유롭게 여러 이치를 말하여 성문이나 벽지불에게 보살의 바라밀을 일러주며, 만일 세계의 차별을 힐난하는 이가 있더라도 능히 굽히지 못한다. 보시하고 좋은 말을 하고 이익한 행을 하고 일을 함께 하니, 이렇게 여러 가지 짓는 업이 모두 부처님 생각함을 떠나지 아니하며, 내지 갖가지 지혜와 온갖 지혜의 지혜를 생각함을 떠나지 않는다.
제9 선혜지(善慧地)는 바른 지혜로 설법하는 지위로서 부처의 지혜가 완성되는 경지를 말한다.
이 지위에 오르면 마음의 온갖 차별과 번뇌의 여러 가지 표현을 알게 되고, 모든 악의 근원을 알게 되며, 결국 세상의 모든 일을 통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사람의 성품과 욕망 등 온갖 차별을 알고 그에 맞게 교화하여 부처를 믿도록 한다.
보살이 이 제9지에 머물러서는 밤낮으로 오로지 정근하고 다시 다른 생각이 없으며, 오직 부처님 경계에 들어가서 여래를 친근하며, 모든 보살들의 매우 깊은 해탈에 들어가서 항상 삼매에서 모든 부처님을 항상 친견하고 일찍이 떠난 적이 없다.
선근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서 일체 성문과 벽지불과 그리고 아래 지위의 보살들이 가진 바 선근이 능히 더불어 같음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