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은 보현보살(普賢菩薩)의 행원(行願)을 기록한 경으로 40권본『화엄경』안에 수록되어 있다.
화엄경은 40권본과 60권본, 80권본의 세 종류가 있다. 40권본은 당나라 때의 반야삼장이 798년에 번역한 것이고, 60권본은 동진시대에 불타발타라가 422년에 번역한 것이다. 그리고 80권본은 당나라 때 실차난타가 695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699년에 마친 것이다.
40권본 화엄경은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이라는 한 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품이 무려 40권이나 되는데 그 마지막 권만 따로 떼어 내어 유통되는 것이 우리가 흔히 독송하는 「보현행원품」이다.
『화엄경』이 부처님의 깨달으신 내용, 광대한 공덕, 그리고 보살 수행의 길 등을 설하고 있다면, 「보현행원품」에서는 그와 같은 공덕을 어떻게 성취할 수 있을까에 대한 방법을 알려 주고 있다.
보현 보살이 여래의 수승하신 공덕을 찬탄하고 나서 모든 보살들과 선재동자에게 말씀하기를 여래의 공덕은 가령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는 부처님 세계의 극히 미세한 티끌 수의 겁이 지나도록 계속 연설하시더라도 끝까지 다하지 못할 것인데 만약 이 공덕문을 성취하려면 반드시 열 가지 넓고 큰 행원을 닦아야 한다고 법문하였다. 열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모든 부처님께 예경함이요,
둘째는 여래를 칭찬함이요,
셋째는 널리 공양을 닦음이요,
넷째는 업장을 참회함이요,
다섯째는 공덕을 따라 기뻐함이요,
여섯째는 법륜 굴리시기를 청함이요,
일곱째는 부처님께서 세상에 머무르시기를 청함이요,
여덟째는 항상 부처님을 따라 배움이요,
아홉째는 항상 중생들을 수순함이요,
열째는 널리 다 회향함이다.
이와 같은 열 가지의 보현행원을 밝히고 이러한 열 가지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 자세히 밝히고 있다. 즉 예배 · 찬탄 · 공양 · 회향 등 어느 하나를 행할지라도 지극한 정성으로 행하되 허공계(虛空界)가 다하고 중생계가 다하고 중생업(衆生業)이 다하고 중생의 번뇌가 다할 때까지 행하여야 하며, 그 생각이 끊어짐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몸과 뜻으로 짓는 일에 지치거나 싫어하는 생각이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
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
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운문사 전문강원을 거쳐 동학사 전문강원을 졸업한 후 동국대에 입학해 수학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가산지관 스님으로부터 전강을 받았다. 비구님 스님 최초로 동국대 교수가 되었으며, 조계종 제11·12대 중앙종회의원, 동학사승가대학장, 불교학연구회 초대·제2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여 권의 저·역서와 6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150여 명의 석·박사 논문지도 제자가 있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수미정사 주지로 주석하며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중앙승가대학교 법인 이사로 있다.
보현행원품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이 발간됐다.
『화엄경』은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래 일찍부터 사경되고 주석 · 강설되어 왔으며 근 · 현대에 이르러서는 『화엄경』의 한글 번역과 연구도 부쩍 많이 이루어졌다. 그만큼 『화엄경』이 우리 불자님들의 신행과 해탈에 큰 의지처가 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도 『화엄경』 80권을 독송하고 사경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한 독송본과 한글역의 사경본 『화엄경』 간행불사를 발원하여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고 있으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으로 있다.
2023년 5월 현재 33권까지 발간하였으며, 금번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하여 40권본 『화엄경』의 제40권인「보현행원품」을 추가로 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