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앤북스
홈
HOME
브랜드
담앤북스
연혁 및 수상내역
오시는길
제휴문의
도서
분야별 도서
포트폴리오
법요집
도록
사보
기타 인쇄물
영상
고객지원
공지사항
투고게시판
자료실
메뉴열기
메뉴 닫기
홈
하위분류
HOME
브랜드
하위분류
담앤북스
연혁 및 수상내역
오시는길
제휴문의
도서
하위분류
분야별 도서
포트폴리오
하위분류
법요집
도록
사보
기타 인쇄물
영상
고객지원
하위분류
공지사항
투고게시판
자료실
Korea
English
홈
HOME
브랜드
담앤북스
연혁 및 수상내역
오시는길
제휴문의
도서
분야별 도서
포트폴리오
법요집
도록
사보
기타 인쇄물
영상
고객지원
공지사항
투고게시판
자료실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58
+82-43-530-1500
BOOK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도서
분야별 도서
Home > 도서 > 분야별 도서
HOME
홈으로 이동
도서
대분류 메뉴 펼치기
홈
브랜드
도서
포트폴리오
고객지원
분야별 도서
대분류 분야별 도서 하위 메뉴 펼치기
분야별 도서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카테고리
열린 분류
불교 경전
불교 이해
수행과 신행
명상
에세이‧법문
문화‧교양
인문‧역사
어린이‧청소년
불교 경전
ALL
Total 259건
5 페이지
게시판 검색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31권 25. 십회향품 [9]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2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31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9]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9]는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9 무착무박해탈회향[無著無縛解脫廻向]에 대해 밝혔다.해탈(解脫)이란 번뇌의 얽매과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해탈에는 유위(有爲)해탈, 무위(無爲)해탈, 성정(性淨)해탈, 장진(障盡)해탈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불교에서는 이와 같은 해탈을 가장 크고 위대한 선행(善行)이라고 하는 만큼 중요하다.이 품에서는 집착이 없고 속박이 없는 해탈 회향의 과위를 10가지 회향의 공덕으로 설했는데 먼저 회향할 바의 선근을 밝히고, 회향하는 행을 수행함, 보현의 삼업과 정진, 보현의 총지의 덕 사문, 보현의 자재한 힘의 십이문, 보현행의 칠원, 법을 섭함이 광대하고 자재한 덕, 상즉상입의 중중덕, 보현의 미세하게 법을 아는 덕, 실제회향에 대해 밝혔다. 이어 여러 문을 모두 맺음과 이익 이룸, 과위를 밝히고 금강당보살의 게송으로 제 9 무착무박해탈회향의 내용을 더욱 알기 쉽게 보충하였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30권 25. 십회향품 [8]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2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30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8 진여의 모양인 회향[眞如相迴向]에 대해 밝히고 있다. 이 품에서는 참사람에게 본래로 갖춰진 육바라밀과 십바라밀, 십선, 사섭법, 사무량심, 인의예지로 선근을 쌓아가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먼저 선근을 쌓고, 선근을 관찰하고, 보리에 회향하고, 중생에게 회향하고, 경계에 회향하고 회향의 이익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상을 떠난 실제회향, 실제회향의 행, 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혔으며 이어 이익과 과위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으로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히는 내용으로, 두루 행하는 진여의 덕과 가장 수승한 진여의 덕, 수승하게 흐르는 진여의 덕, 섭수함이 없는 진여의 덕, 모든 것과다르지 않은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법에 다름이 없는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지혜가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 업이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에 대해 각각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해주 스님의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사경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읽고 쓰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사경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사경본은 동시에 발간된 독송본에 수록된 한글역을 사경의 편의를 위해 편집을 달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글 번역만 수록되었다. 사경을 마치면 한 권의 한글 독송본이 되므로 원문 없이 한글 독송만을 원하면 사경본만 갖추어도 된다. 한글역은 독송과 사경이라는 책의 역할을 고려하여 읽고 쓰면서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글자 크기를 키워 피로도를 줄이고 독송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30권 25. 십회향품 [8]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2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30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8 진여의 모양인 회향[眞如相迴向]에 대해 밝히고 있다. 이 품에서는 참사람에게 본래로 갖춰진 육바라밀과 십바라밀, 십선, 사섭법, 사무량심, 인의예지로 선근을 쌓아가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먼저 선근을 쌓고, 선근을 관찰하고, 보리에 회향하고, 중생에게 회향하고, 경계에 회향하고 회향의 이익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상을 떠난 실제회향, 실제회향의 행, 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혔으며 이어 이익과 과위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으로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히는 내용으로, 두루 행하는 진여의 덕과 가장 수승한 진여의 덕, 수승하게 흐르는 진여의 덕, 섭수함이 없는 진여의 덕, 모든 것과다르지 않은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법에 다름이 없는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지혜가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 업이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에 대해 각각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9권 25. 십회향품 [7]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1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9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7 일체 중생을 평등하게 수순하는 회향[等隨順一切衆生廻向]을 밝히고 있다. 일체 선근을 모으고, 선근을 닦아 덕을 이루고, 모든 선근은 보리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으며 모든 선근을 일체 중생에게 회향함을 밝히고, 보시의 수승함을 밝히고, 아승지 세계에 가득한 보시를 원함을 밝히고, 일체 중생에게 이와 같이 하는 것을 밝히고, 보시할 때 내는 마음을 밝히고, 선근으로 회향하는 마음을 밝히고, 회향하는 바를 밝히고, 이익을 이루고, 중생에게 권하는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구경의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실제에 회향함을 밝히고, 인위의 광대한 덕을 밝히고, 과의의 덕이 청정함을 밝히고, 어기지 않는 자재한 덕을 밝히고, 상이 다한 평등한 덕을 밝히고, 과위에 대해 밝히고 끝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을 설하여 마친다.해주 스님의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사경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읽고 쓰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사경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사경본은 동시에 발간된 독송본에 수록된 한글역을 사경의 편의를 위해 편집을 달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글 번역만 수록되었다. 사경을 마치면 한 권의 한글 독송본이 되므로 원문 없이 한글 독송만을 원하면 사경본만 갖추어도 된다. 한글역은 독송과 사경이라는 책의 역할을 고려하여 읽고 쓰면서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글자 크기를 키워 피로도를 줄이고 독송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9권 25. 십회향품 [7]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0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29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7 일체 중생을 평등하게 수순하는 회향[等隨順一切衆生廻向]을 밝히고 있다. 일체 선근을 모으고, 선근을 닦아 덕을 이루고, 모든 선근은 보리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으며 모든 선근을 일체 중생에게 회향함을 밝히고, 보시의 수승함을 밝히고, 아승지 세계에 가득한 보시를 원함을 밝히고, 일체 중생에게 이와 같이 하는 것을 밝히고, 보시할 때 내는 마음을 밝히고, 선근으로 회향하는 마음을 밝히고, 회향하는 바를 밝히고, 이익을 이루고, 중생에게 권하는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구경의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실제에 회향함을 밝히고, 인위의 광대한 덕을 밝히고, 과의의 덕이 청정함을 밝히고, 어기지 않는 자재한 덕을 밝히고, 상이 다한 평등한 덕을 밝히고, 과위에 대해 밝히고 끝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을 설하여 마친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8권 25. 십회향품 [6]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9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8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은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46.여래 출현을 찬탄하는 보시 47.큰 땅을 보시 48.하인을 보시 49.몸을 버려 겸하하는 보시 50.법을 듣고 기뻐하는 보시 51.몸으로써 일체 중생에게 널리 보시 52.몸으로써 모든 부처님을 시봉하는 보시 53.국토와 왕위를 보시 54.나라의 수도를 보시 55.내궁의 권속들을 보시 56.처자를 보시 57.집과 살림도구를 보시 58.동산과 숲을 보시 59.광대한 보시의 모임을 만들어서 보시 60.생활에 필요한 모든 물건 등을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법문이 끝이 났다. 보시야말로 불교의 시작이며 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보시의 공덕을 쌓아 여법하게 회향하기를 설하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8권 25. 십회향품 [6]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9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28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은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46.여래 출현을 찬탄하는 보시 47.큰 땅을 보시 48.하인을 보시 49.몸을 버려 겸하하는 보시 50.법을 듣고 기뻐하는 보시 51.몸으로써 일체 중생에게 널리 보시 52.몸으로써 모든 부처님을 시봉하는 보시 53.국토와 왕위를 보시 54.나라의 수도를 보시 55.내궁의 권속들을 보시 56.처자를 보시 57.집과 살림도구를 보시 58.동산과 숲을 보시 59.광대한 보시의 모임을 만들어서 보시 60.생활에 필요한 모든 물건 등을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법문이 끝이 났다. 보시야말로 불교의 시작이며 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보시의 공덕을 쌓아 여법하게 회향하기를 설하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 25. 십회향품 [5]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7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5]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5]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26. 정수리의 육계를 보시 27. 눈을 보시 28. 귀와 코를 보시 29. 치아를 보시 30. 혀를 보시 31. 머리를 보시 32. 수족을 보시 33. 몸을 부수어 피를 내어 보시 34. 골수와 살을 보시 35. 심장을 보시 36. 창자와 콩팥 간과 허파를 보시 37. 팔다리와 뼈를 보시 38. 몸의 피부를 보시 39.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시 40. 살이 붙어 있는 손톱을 보시 41. 불구덩이에 몸을 던진 보시 42. 법을 구하기 위하여 고통을 받는 보시 43. 처자와 권속과 왕위를 보시 44. 왕이 되어 살생을 금하는 보시 45. 자비로써 구제하는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 25. 십회향품 [5]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7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5]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5]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26. 정수리의 육계를 보시 27. 눈을 보시 28. 귀와 코를 보시 29. 치아를 보시 30. 혀를 보시 31. 머리를 보시 32. 수족을 보시 33. 몸을 부수어 피를 내어 보시 34. 골수와 살을 보시 35. 심장을 보시 36. 창자와 콩팥 간과 허파를 보시 37. 팔다리와 뼈를 보시 38. 몸의 피부를 보시 39.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시 40. 살이 붙어 있는 손톱을 보시 41. 불구덩이에 몸을 던진 보시 42. 법을 구하기 위하여 고통을 받는 보시 43. 처자와 권속과 왕위를 보시 44. 왕이 되어 살생을 금하는 보시 45. 자비로써 구제하는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6권 25. 십회향품 [4]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6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4]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4]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16번째인 보배로 아름답게 장엄한 수레를 보시하는 내용부터 시작된다.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보시할 대상, 보시할 수레의 종류, 부처님께 보시하여 회향함, 보살과 선지식, 스님, 성문, 독각 등 모든 복전에 보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어서 17. 코끼리와 말을 보시하고, 18. 사자좌를 보시하고, 19. 보배일산을 보시하고, 20. 깃대와 깃발을 보시하고, 21. 여러 가지 보배를 보시하고, 22. 장엄거리로 보시하고, 23. 보배관과 머리 위의 구슬을 보시하고, 24. 옥에 갇힌 중생을 구하기 위해 보시하고, 25. 자신의 몸을 버려 생명을 구하는 보시를 하는 등 10종 보시를 하여 여법하게 회향하는 서원을 담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6권 25. 십회향품 [4]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26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4]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4]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16번째인 보배로 아름답게 장엄한 수레를 보시하는 내용부터 시작된다.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보시할 대상, 보시할 수레의 종류, 부처님께 보시하여 회향함, 보살과 선지식, 스님, 성문, 독각 등 모든 복전에 보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어서 17. 코끼리와 말을 보시하고, 18. 사자좌를 보시하고, 19. 보배일산을 보시하고, 20. 깃대와 깃발을 보시하고, 21. 여러 가지 보배를 보시하고, 22. 장엄거리로 보시하고, 23. 보배관과 머리 위의 구슬을 보시하고, 24. 옥에 갇힌 중생을 구하기 위해 보시하고, 25. 자신의 몸을 버려 생명을 구하는 보시를 하는 등 10종 보시를 하여 여법하게 회향하는 서원을 담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5권 25. 십회향품 [3]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6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5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3]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3]에는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의 회향을 설하는데 여기서는 다섯 번째 무진공덕장회향과 여섯 번째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이 수록되었다. 무진공덕장회향은 모든 곳의 부처님을 공양하는 공덕과 모든 중생에게 진여의 공덕을 돌려 주어도 다함이 없는 공덕을 쌓는 회향을 말한다. 먼저 보살의 열 가지 선근을 밝히고 불국토의 장엄, 과거 미래 현재세의 부처님이 장엄한 세계와 부처님의 국토와 각각의 회향에 대해 밝히고 있다.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은 불교의 가르침 중에서 제일가는 덕목인 보시행을 구체적으로 광범위하게 설한 내용이다. 보살이 제왕이 되어 중생을 구제하는데 60종의 보시의 명목을 열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25권에서는 좋은 음식, 마실 것, 훌륭한 맛, 수레, 옷, 꽃, 꽃다발, 향, 바르는 향, 평상, 방사, 사는 곳, 등, 탕약, 일체 그릇 등을 보시하여 회향한다고 밝히고 나머지 보시의 명목은 다음 권에 계속 이어진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31권 25. 십회향품 [9]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2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31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9]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9]는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9 무착무박해탈회향[無著無縛解脫廻向]에 대해 밝혔다.해탈(解脫)이란 번뇌의 얽매과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해탈에는 유위(有爲)해탈, 무위(無爲)해탈, 성정(性淨)해탈, 장진(障盡)해탈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불교에서는 이와 같은 해탈을 가장 크고 위대한 선행(善行)이라고 하는 만큼 중요하다.이 품에서는 집착이 없고 속박이 없는 해탈 회향의 과위를 10가지 회향의 공덕으로 설했는데 먼저 회향할 바의 선근을 밝히고, 회향하는 행을 수행함, 보현의 삼업과 정진, 보현의 총지의 덕 사문, 보현의 자재한 힘의 십이문, 보현행의 칠원, 법을 섭함이 광대하고 자재한 덕, 상즉상입의 중중덕, 보현의 미세하게 법을 아는 덕, 실제회향에 대해 밝혔다. 이어 여러 문을 모두 맺음과 이익 이룸, 과위를 밝히고 금강당보살의 게송으로 제 9 무착무박해탈회향의 내용을 더욱 알기 쉽게 보충하였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30권 25. 십회향품 [8]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2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30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8 진여의 모양인 회향[眞如相迴向]에 대해 밝히고 있다. 이 품에서는 참사람에게 본래로 갖춰진 육바라밀과 십바라밀, 십선, 사섭법, 사무량심, 인의예지로 선근을 쌓아가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먼저 선근을 쌓고, 선근을 관찰하고, 보리에 회향하고, 중생에게 회향하고, 경계에 회향하고 회향의 이익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상을 떠난 실제회향, 실제회향의 행, 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혔으며 이어 이익과 과위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으로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히는 내용으로, 두루 행하는 진여의 덕과 가장 수승한 진여의 덕, 수승하게 흐르는 진여의 덕, 섭수함이 없는 진여의 덕, 모든 것과다르지 않은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법에 다름이 없는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지혜가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 업이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에 대해 각각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해주 스님의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사경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읽고 쓰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사경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사경본은 동시에 발간된 독송본에 수록된 한글역을 사경의 편의를 위해 편집을 달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글 번역만 수록되었다. 사경을 마치면 한 권의 한글 독송본이 되므로 원문 없이 한글 독송만을 원하면 사경본만 갖추어도 된다. 한글역은 독송과 사경이라는 책의 역할을 고려하여 읽고 쓰면서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글자 크기를 키워 피로도를 줄이고 독송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30권 25. 십회향품 [8]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2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30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8]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8 진여의 모양인 회향[眞如相迴向]에 대해 밝히고 있다. 이 품에서는 참사람에게 본래로 갖춰진 육바라밀과 십바라밀, 십선, 사섭법, 사무량심, 인의예지로 선근을 쌓아가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먼저 선근을 쌓고, 선근을 관찰하고, 보리에 회향하고, 중생에게 회향하고, 경계에 회향하고 회향의 이익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상을 떠난 실제회향, 실제회향의 행, 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혔으며 이어 이익과 과위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으로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진여를 들어 진여상회향을 널리 밝히는 내용으로, 두루 행하는 진여의 덕과 가장 수승한 진여의 덕, 수승하게 흐르는 진여의 덕, 섭수함이 없는 진여의 덕, 모든 것과다르지 않은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법에 다름이 없는 진여의 덕, 증감이 없는 진여의 덕, 지혜가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 업이 자재하게 의지하는 진여의 덕에 대해 각각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9권 25. 십회향품 [7]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1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9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7 일체 중생을 평등하게 수순하는 회향[等隨順一切衆生廻向]을 밝히고 있다. 일체 선근을 모으고, 선근을 닦아 덕을 이루고, 모든 선근은 보리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으며 모든 선근을 일체 중생에게 회향함을 밝히고, 보시의 수승함을 밝히고, 아승지 세계에 가득한 보시를 원함을 밝히고, 일체 중생에게 이와 같이 하는 것을 밝히고, 보시할 때 내는 마음을 밝히고, 선근으로 회향하는 마음을 밝히고, 회향하는 바를 밝히고, 이익을 이루고, 중생에게 권하는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구경의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실제에 회향함을 밝히고, 인위의 광대한 덕을 밝히고, 과의의 덕이 청정함을 밝히고, 어기지 않는 자재한 덕을 밝히고, 상이 다한 평등한 덕을 밝히고, 과위에 대해 밝히고 끝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을 설하여 마친다.해주 스님의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사경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읽고 쓰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사경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사경본은 동시에 발간된 독송본에 수록된 한글역을 사경의 편의를 위해 편집을 달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글 번역만 수록되었다. 사경을 마치면 한 권의 한글 독송본이 되므로 원문 없이 한글 독송만을 원하면 사경본만 갖추어도 된다. 한글역은 독송과 사경이라는 책의 역할을 고려하여 읽고 쓰면서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글자 크기를 키워 피로도를 줄이고 독송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9권 25. 십회향품 [7]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10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29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7]은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는 내용 중에서 제7 일체 중생을 평등하게 수순하는 회향[等隨順一切衆生廻向]을 밝히고 있다. 일체 선근을 모으고, 선근을 닦아 덕을 이루고, 모든 선근은 보리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으며 모든 선근을 일체 중생에게 회향함을 밝히고, 보시의 수승함을 밝히고, 아승지 세계에 가득한 보시를 원함을 밝히고, 일체 중생에게 이와 같이 하는 것을 밝히고, 보시할 때 내는 마음을 밝히고, 선근으로 회향하는 마음을 밝히고, 회향하는 바를 밝히고, 이익을 이루고, 중생에게 권하는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구경의 회향을 하는 것을 밝히고, 실제에 회향함을 밝히고, 인위의 광대한 덕을 밝히고, 과의의 덕이 청정함을 밝히고, 어기지 않는 자재한 덕을 밝히고, 상이 다한 평등한 덕을 밝히고, 과위에 대해 밝히고 끝으로 금강당보살이 게송을 설하여 마친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8권 25. 십회향품 [6]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9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8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은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46.여래 출현을 찬탄하는 보시 47.큰 땅을 보시 48.하인을 보시 49.몸을 버려 겸하하는 보시 50.법을 듣고 기뻐하는 보시 51.몸으로써 일체 중생에게 널리 보시 52.몸으로써 모든 부처님을 시봉하는 보시 53.국토와 왕위를 보시 54.나라의 수도를 보시 55.내궁의 권속들을 보시 56.처자를 보시 57.집과 살림도구를 보시 58.동산과 숲을 보시 59.광대한 보시의 모임을 만들어서 보시 60.생활에 필요한 모든 물건 등을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법문이 끝이 났다. 보시야말로 불교의 시작이며 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보시의 공덕을 쌓아 여법하게 회향하기를 설하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8권 25. 십회향품 [6]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9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28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6]은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46.여래 출현을 찬탄하는 보시 47.큰 땅을 보시 48.하인을 보시 49.몸을 버려 겸하하는 보시 50.법을 듣고 기뻐하는 보시 51.몸으로써 일체 중생에게 널리 보시 52.몸으로써 모든 부처님을 시봉하는 보시 53.국토와 왕위를 보시 54.나라의 수도를 보시 55.내궁의 권속들을 보시 56.처자를 보시 57.집과 살림도구를 보시 58.동산과 숲을 보시 59.광대한 보시의 모임을 만들어서 보시 60.생활에 필요한 모든 물건 등을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법문이 끝이 났다. 보시야말로 불교의 시작이며 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보시의 공덕을 쌓아 여법하게 회향하기를 설하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 25. 십회향품 [5]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7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5]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5]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26. 정수리의 육계를 보시 27. 눈을 보시 28. 귀와 코를 보시 29. 치아를 보시 30. 혀를 보시 31. 머리를 보시 32. 수족을 보시 33. 몸을 부수어 피를 내어 보시 34. 골수와 살을 보시 35. 심장을 보시 36. 창자와 콩팥 간과 허파를 보시 37. 팔다리와 뼈를 보시 38. 몸의 피부를 보시 39.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시 40. 살이 붙어 있는 손톱을 보시 41. 불구덩이에 몸을 던진 보시 42. 법을 구하기 위하여 고통을 받는 보시 43. 처자와 권속과 왕위를 보시 44. 왕이 되어 살생을 금하는 보시 45. 자비로써 구제하는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 25. 십회향품 [5]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7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5]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5]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26. 정수리의 육계를 보시 27. 눈을 보시 28. 귀와 코를 보시 29. 치아를 보시 30. 혀를 보시 31. 머리를 보시 32. 수족을 보시 33. 몸을 부수어 피를 내어 보시 34. 골수와 살을 보시 35. 심장을 보시 36. 창자와 콩팥 간과 허파를 보시 37. 팔다리와 뼈를 보시 38. 몸의 피부를 보시 39.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시 40. 살이 붙어 있는 손톱을 보시 41. 불구덩이에 몸을 던진 보시 42. 법을 구하기 위하여 고통을 받는 보시 43. 처자와 권속과 왕위를 보시 44. 왕이 되어 살생을 금하는 보시 45. 자비로써 구제하는 보시를 하여 회향하는 내용이 이어지고 있다.위의 보시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직 보시하는 것이며 선근을 닦는 것이며 나누고 베푸는 것이며 다시 더 향상된 법으로 나아가 회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6권 25. 십회향품 [4]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6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4]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4]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16번째인 보배로 아름답게 장엄한 수레를 보시하는 내용부터 시작된다.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보시할 대상, 보시할 수레의 종류, 부처님께 보시하여 회향함, 보살과 선지식, 스님, 성문, 독각 등 모든 복전에 보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어서 17. 코끼리와 말을 보시하고, 18. 사자좌를 보시하고, 19. 보배일산을 보시하고, 20. 깃대와 깃발을 보시하고, 21. 여러 가지 보배를 보시하고, 22. 장엄거리로 보시하고, 23. 보배관과 머리 위의 구슬을 보시하고, 24. 옥에 갇힌 중생을 구하기 위해 보시하고, 25. 자신의 몸을 버려 생명을 구하는 보시를 하는 등 10종 보시를 하여 여법하게 회향하는 서원을 담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6권 25. 십회향품 [4]
저자
실차난타 한역 · 해주 스님 한글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724
정가
15,000원
『화엄경』 제26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4]가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4]는 금강당보살의 십회향 가운데 제6 견고한 일체 선근을 수순하는 회향(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의 내용으로 60종의 보시로 회향하는 것 중 16번째인 보배로 아름답게 장엄한 수레를 보시하는 내용부터 시작된다.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보시할 대상, 보시할 수레의 종류, 부처님께 보시하여 회향함, 보살과 선지식, 스님, 성문, 독각 등 모든 복전에 보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어서 17. 코끼리와 말을 보시하고, 18. 사자좌를 보시하고, 19. 보배일산을 보시하고, 20. 깃대와 깃발을 보시하고, 21. 여러 가지 보배를 보시하고, 22. 장엄거리로 보시하고, 23. 보배관과 머리 위의 구슬을 보시하고, 24. 옥에 갇힌 중생을 구하기 위해 보시하고, 25. 자신의 몸을 버려 생명을 구하는 보시를 하는 등 10종 보시를 하여 여법하게 회향하는 서원을 담고 있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25권 25. 십회향품 [3]
저자
해주 스님 역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20624
정가
10,000원
『화엄경』 제25권에는 25. 십회향품(十迴向品) [3]이 수록되었다.25. 십회향품(十迴向品) [3]에는 금강당보살이 열 가지의 회향을 설하는데 여기서는 다섯 번째 무진공덕장회향과 여섯 번째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이 수록되었다. 무진공덕장회향은 모든 곳의 부처님을 공양하는 공덕과 모든 중생에게 진여의 공덕을 돌려 주어도 다함이 없는 공덕을 쌓는 회향을 말한다. 먼저 보살의 열 가지 선근을 밝히고 불국토의 장엄, 과거 미래 현재세의 부처님이 장엄한 세계와 부처님의 국토와 각각의 회향에 대해 밝히고 있다.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은 불교의 가르침 중에서 제일가는 덕목인 보시행을 구체적으로 광범위하게 설한 내용이다. 보살이 제왕이 되어 중생을 구제하는데 60종의 보시의 명목을 열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25권에서는 좋은 음식, 마실 것, 훌륭한 맛, 수레, 옷, 꽃, 꽃다발, 향, 바르는 향, 평상, 방사, 사는 곳, 등, 탕약, 일체 그릇 등을 보시하여 회향한다고 밝히고 나머지 보시의 명목은 다음 권에 계속 이어진다.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 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
처음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열린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