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도서
도서

분야별 도서

불교 경전
ALL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4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324
정가 10000
『화엄경』제54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2]가 수록되었다.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제54권에는 53권의 내용 중 세 번째 십행의 30문에 답하는 내용에서 환희행에 답하는 내용 중 두 번째 ‘보살이 열 가지 크게 기쁘고 편안함이 있다’와 세 번째 보살이 열 가지 부처님 법에 들어감이 있다’는 내용을 마저 설하고 이어, 의지가 있어 보살이 이를 의지하여 보살행을 행함, 두려움 없는 마음을 냄, 일체 부처님 법에 마음이 의혹이 없음, 불가사의, 교묘하고 비밀한 말, 교묘하게 분별하는 지혜, 삼매에 들어감, 두루 들어감, 해탈문, 신통, 밝음, 해탈, 동산 숲, 궁전, 좋아함, 장엄, 움직이지 않는 마음, 버리지 않는 깊고 큰 마음, 지혜의 관찰, 법을 설함, 청정, 도장 찍음, 지혜 광명의 비춤, 같음이 없는 머무름이 있어 일체 중생과 성문과 독각이 모두 더불어 같을 이 없음 등에 대한 내용이 각각 열 가지의 문답으로 이어진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4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324
정가 15000
『화엄경』제54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2]가 수록되었다.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제54권에는 53권의 내용 중 세 번째 십행의 30문에 답하는 내용에서 환희행에 답하는 내용 중 두 번째 ‘보살이 열 가지 크게 기쁘고 편안함이 있다’와 세 번째 보살이 열 가지 부처님 법에 들어감이 있다’는 내용을 마저 설하고 이어, 의지가 있어 보살이 이를 의지하여 보살행을 행함, 두려움 없는 마음을 냄, 일체 부처님 법에 마음이 의혹이 없음, 불가사의, 교묘하고 비밀한 말, 교묘하게 분별하는 지혜, 삼매에 들어감, 두루 들어감, 해탈문, 신통, 밝음, 해탈, 동산 숲, 궁전, 좋아함, 장엄, 움직이지 않는 마음, 버리지 않는 깊고 큰 마음, 지혜의 관찰, 법을 설함, 청정, 도장 찍음, 지혜 광명의 비춤, 같음이 없는 머무름이 있어 일체 중생과 성문과 독각이 모두 더불어 같을 이 없음 등에 대한 내용이 각각 열 가지의 문답으로 이어진다.
제목 재미있는 금강경 강의
저자 서봉 반산
분야 불교 경전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224
정가 18000
종교와 시대를 초월한 삶의 지혜 『금강경』반산 스님의 강설로 쉽고 재미있게 읽다『재미있는 금강경 강의』는 오랜 기간 국내 여러 사찰에서 강사(講師) 및 교수사(敎授師)를 역임해 온 서봉 반산 스님이 일반인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금강경』의 가르침을 전하고자 명료한 강설에 풍부한 예화를 곁들여 엮어낸 책이다.불법(佛法)의 정수(精髓)를 담고 있는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반야심경(般若心經)』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읽혀 온 경전이자,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所依經典, 근본이 되는 경전)이기도 하다.부처님과 제자 수보리의 문답으로 이루어져 있는 『금강경』은 종교와 시대를 초월해 오늘날까지도 유효한 삶의 지혜를 전한다. 하지만 다소 난해한 문장과 심오한 철학적 사상 때문에 『금강경』을 단번에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무턱대고 문자만으로 그 뜻을 이해하려고 하면 그 요체를 곡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십상이다.『재미있는 금강경 강의』는 『금강경』의 한자 원문에 음을 달고, 대한불교조계종이 펴낸 표준 우리말 독송을 나란히 실었다. 여기에 반산 스님 특유의 명료하고 유쾌한 강설을 덧붙여 자칫 놓치기 쉬운 경문 속 부처님의 가르침을 찬찬히 짚어 준다. 아울러 강설 사이사이에 선사들의 어록과 일화, 흥미로운 선화(禪話)를 함께 소개해 흥미를 돋운다.불교 경전을 그대로 읽어 내려가며 경문의 자구를 해석하고 이론을 전달하는 데에 그치는 기존의 해설서 방식에서 벗어나, 마치 스님과 마주 앉아 경전을 읽으며 강론을 듣고 담화를 나누는 것처럼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금강경』을 쉽고 재미있게 읽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고자 한다면 이 책이 든든한 입문서가 되어 줄 것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3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224
정가 10000
  『화엄경』제53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1]이 수록되었다.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제53권에는 먼저 기세간과 지정각세간과 중생세간의 원만함에 대해 밝히고 이어 보현보살이 삼매에 들었는데 이때의 장엄하고 환희로움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이름이 ‘불화장엄’이라 이 삼매에 들었을 때 시방에 있는 일체 세계가 여섯 가지 열여덟 모양으로 흔들리며 큰 소리를 내니, 모두 듣지 못함이 없었다. 그런 뒤에 그 삼매에 서 일어났다.”   이어 십신행법의 20가지 질문, 십주행법의 20가지 질문, 십행행법의 30가지 질문, 십회향행법의 29가지 질문, 십지행법의 50가지 질문, 등각위의 32가지 질문, 묘각위의 19가지 등 총 200가지의 질문한 내용을 낱낱이 밝히고, 이어 십신행법의 20가지, 십주의 20가지, 십행의 30문에 답하는 내용까지 53권에 담았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3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224
정가 15000
『화엄경』제53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1]이 수록되었다.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제53권에는 먼저 기세간과 지정각세간과 중생세간의 원만함에 대해 밝히고 이어 보현보살이 삼매에 들었는데 이때의 장엄하고 환희로움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이름이 ‘불화장엄’이라 이 삼매에 들었을 때 시방에 있는 일체 세계가 여섯 가지 열여덟 모양으로 흔들리며 큰 소리를 내니, 모두 듣지 못함이 없었다. 그런 뒤에 그 삼매에 서 일어났다.”   이어 십신행법의 20가지 질문, 십주행법의 20가지 질문, 십행행법의 30가지 질문, 십회향행법의 29가지 질문, 십지행법의 50가지 질문, 등각위의 32가지 질문, 묘각위의 19가지 등 총 200가지의 질문한 내용을 낱낱이 밝히고, 이어 십신행법의 20가지, 십주의 20가지, 십행의 30문에 답하는 내용까지 53권에 담았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2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124
정가 10000
화엄경』제52권에는 37. 여래출현품 [3]이 수록되었다.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여래출현품 총 세 권 중, 세 번째인 마지막 권인 제52권에는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이 이어지는데 이 중 다섯 번째 여래의 경계를 답하다, 여섯 번째 여래의 행을 답하다, 일곱 번째 여래의 정각을 답하다, 여덟 번째 여래의 법륜 굴림을 답하다, 아홉 번째 여래의 열반을 답하다, 열 번째 보고 듣고 친근하여 심은 선근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먼저 여래의 경계를 답하는 내용에서는 여래의 경계의 법을 밝히고, 여래 경계의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법과 비유를 합하여 말한 후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행을 답하는 내용에서는 여래의 걸림 없는 행과 진여의 행에 대해 설하고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정각을 답하는 내용에서는 정각의 체상, 일념에 삼세의 모든 행을 다 앎, 성상이 매우 깊음, 삼륜이 평등함, 인과가 서로 사무침, 정각의 상은 일상이며 무상함, 여래 정각 작용의 동과 정, 여래 정각은 법계에 두루함, 정각은 모든 마음에 널리 두루함에 대해 말하고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법륜 굴림의 내용에서는 법륜의 체성, 상과 작용, 체성과 상과 작용의 비유, 여래 법륜의 원인을 말하고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열반을 답하는 내용에서는 열반의 체성은 참되고 항상함을 밝히고 덕의 작용이 원만하며 여래는 생도 없고 사도 없고 열반도 없음에 대해 밝히고 여래의 열반을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마지막으로 보고 듣고 친근하여 심은 선근의 내용에서는 여래를 친근하면 헛되지 않음을 밝히고 견문친근 이익을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여래를 친근하고 믿지 않아도 선근이 되며 법문의 명칭과 수지하는 사람에 대해 밝히고 게송으로 거듭 설하여 마쳤다.여래출현품은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하시어 만 중생들에게 믿게 하고 실천하게 하고 깨닫게 하신 수많은 일들을 밝힌 품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2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50124
정가 15000
『화엄경』제52권에는 37. 여래출현품 [3]이 수록되었다.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여래출현품 총 세 권 중, 세 번째인 마지막 권인 제52권에는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이 이어지는데 이 중 다섯 번째 여래의 경계를 답하다, 여섯 번째 여래의 행을 답하다, 일곱 번째 여래의 정각을 답하다, 여덟 번째 여래의 법륜 굴림을 답하다, 아홉 번째 여래의 열반을 답하다, 열 번째 보고 듣고 친근하여 심은 선근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먼저 여래의 경계를 답하는 내용에서는 여래의 경계의 법을 밝히고, 여래 경계의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법과 비유를 합하여 말한 후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행을 답하는 내용에서는 여래의 걸림 없는 행과 진여의 행에 대해 설하고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정각을 답하는 내용에서는 정각의 체상, 일념에 삼세의 모든 행을 다 앎, 성상이 매우 깊음, 삼륜이 평등함, 인과가 서로 사무침, 정각의 상은 일상이며 무상함, 여래 정각 작용의 동과 정, 여래 정각은 법계에 두루함, 정각은 모든 마음에 널리 두루함에 대해 말하고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법륜 굴림의 내용에서는 법륜의 체성, 상과 작용, 체성과 상과 작용의 비유, 여래 법륜의 원인을 말하고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여래의 열반을 답하는 내용에서는 열반의 체성은 참되고 항상함을 밝히고 덕의 작용이 원만하며 여래는 생도 없고 사도 없고 열반도 없음에 대해 밝히고 여래의 열반을 게송으로 거듭 설했다.마지막으로 보고 듣고 친근하여 심은 선근의 내용에서는 여래를 친근하면 헛되지 않음을 밝히고 견문친근 이익을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여래를 친근하고 믿지 않아도 선근이 되며 법문의 명칭과 수지하는 사람에 대해 밝히고 게송으로 거듭 설하여 마쳤다.여래출현품은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하시어 만 중생들에게 믿게 하고 실천하게 하고 깨닫게 하신 수많은 일들을 밝힌 품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1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1224
정가 10000
『화엄경』제51권에는 37. 여래출현품 [2]가 수록되었다.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여래출현품 총 세 권 중 두 번째 권에는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이 이어지는데 이 중 세 번째, 여래의 어업에 답하는 내용과 네 번째, 여래의 의업에 답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먼저 여래의 어업을 모두 밝히고, 어업의 열 가지 비유를 들었다. 어업이란 여래의 음성을 말하는데 여래의 음성은 한량없는 모든 음성에 두루하므로 음성이 두루 이르는 줄을 알아야 함을 밝히고 다음과 같이 열 가지 비유를 자세하게 설명하였다.첫째, 여래의 음성은 한량이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주재가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보여 주는 것도 아니고 보여 줌이 없음도 아님을 세계가 무너질 때 나는 소리로써 비유을 들었다.둘째, 메아리, 셋째, 모든 하늘의 법의 북, 넷째, 자재천의 선구라는 채녀, 다섯째, 대범천왕, 여섯째, 여러 물의 맛, 일곱째, 용왕이 일으키는 구름, 여덟째, 마나사용왕이 비를 내림, 아홉째, 분별이 없는 물, 열째, 용왕이 큰 구름을 일으키는 등에 비유하였다. 이처럼 여래의 음성은 법계와 같이 한량없으며 중생계와 같이 한량없으며 모든 업과 같이 한량없고 번뇌와 같이 한량없음을 밝혔다.다음으로 여래의 의업에 답하는 내용으로 먼저 의업을 모두 밝히고 의업의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의업이란 마음과 뜻과 의식을 모두 일컫는 말로 여래의 정신적 작용을 뜻한다.열 가지의 비유는 허공이 의지하는 바, 법계의 더하고 덜함, 바닷물의 분별없음, 보배구슬의 덕, 바다의 네 가지 치성한 광명, 허공의 분별없음, 설산 정상의 약나무, 겁말의 불, 바람, 걸림 없는 지혜의 나타남 등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1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1224
정가 15000
『화엄경』제51권에는 37. 여래출현품 [2]가 수록되었다.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여래출현품 총 세 권 중 두 번째 권에는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이 이어지는데 이 중 세 번째, 여래의 어업에 답하는 내용과 네 번째, 여래의 의업에 답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먼저 여래의 어업을 모두 밝히고, 어업의 열 가지 비유를 들었다. 어업이란 여래의 음성을 말하는데 여래의 음성은 한량없는 모든 음성에 두루하므로 음성이 두루 이르는 줄을 알아야 함을 밝히고 다음과 같이 열 가지 비유를 자세하게 설명하였다.첫째, 여래의 음성은 한량이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주재가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며, 보여 주는 것도 아니고 보여 줌이 없음도 아님을 세계가 무너질 때 나는 소리로써 비유을 들었다.둘째, 메아리, 셋째, 모든 하늘의 법의 북, 넷째, 자재천의 선구라는 채녀, 다섯째, 대범천왕, 여섯째, 여러 물의 맛, 일곱째, 용왕이 일으키는 구름, 여덟째, 마나사용왕이 비를 내림, 아홉째, 분별이 없는 물, 열째, 용왕이 큰 구름을 일으키는 등에 비유하였다. 이처럼 여래의 음성은 법계와 같이 한량없으며 중생계와 같이 한량없으며 모든 업과 같이 한량없고 번뇌와 같이 한량없음을 밝혔다.다음으로 여래의 의업에 답하는 내용으로 먼저 의업을 모두 밝히고 의업의 열 가지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의업이란 마음과 뜻과 의식을 모두 일컫는 말로 여래의 정신적 작용을 뜻한다.열 가지의 비유는 허공이 의지하는 바, 법계의 더하고 덜함, 바닷물의 분별없음, 보배구슬의 덕, 바다의 네 가지 치성한 광명, 허공의 분별없음, 설산 정상의 약나무, 겁말의 불, 바람, 걸림 없는 지혜의 나타남 등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0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1124
정가 10000
『화엄경』제50권에는 37. 여래출현품 [1]이 수록되었다.여래출현품은 화엄경 7처 9회의 설법 중 보광명전에서 법회가 열렸으며 7회의 마지막 품에 해당한다. 이 품은 총 세 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품이다. 세존이 광명을 놓아 가피를 내리자 여래성기묘덕보살이 보현보살에게 법을 묻고 이에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여래 출현의 내용을 열 가지로 나타낸 후 여래가 출현하는 법상을 열 가지 비유를 들고 여래의 신업을 열 가지 비유를 들어 밝혔다.   “부처님께서 미간의 백호상으로부터 큰 광명을 놓으니 이름이 여래출현이라고 했듯이 여래가 출현함으로 인해 사람과 일체 존재의 진실한 모습이 밝게 드러나게 되었다. 그 광명이 시방의 온 허공 법계의 일체 세계를 널리 비추며 오른쪽으로 열 번 돌아 여래의 한량없이 자재하심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없는 모든 보살 대중들을 깨우치며, 일체 시방세계를 진동시키며, 일체 모든 악도의 고통을 멸하여 없애며, 일체 모든 마군의 궁전을 덮어 가렸다. 아울러 일체 모든 부처님 여래께서 보리좌에 앉아서 평등하고 바른 깨달음을 이루심과 일체 도량에 모인 대중들을 나타내 보였다.” 이 품은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하여 진리의 가르침을 널리 편 것을 광명으로 표현하여 환희심이 절로 일어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품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0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1124
정가 15000
화엄경』제50권에는 37. 여래출현품 [1]이 수록되었다.여래출현품은 화엄경 7처 9회의 설법 중 보광명전에서 법회가 열렸으며 7회의 마지막 품에 해당한다. 이 품은 총 세 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래가 출현하여 세상에 베푼 공덕과 자비를 나타낸 품이다. 세존이 광명을 놓아 가피를 내리자 여래성기묘덕보살이 보현보살에게 법을 묻고 이에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여래 출현의 내용을 열 가지로 나타낸 후 여래가 출현하는 법상을 열 가지 비유를 들고 여래의 신업을 열 가지 비유를 들어 밝혔다.   “부처님께서 미간의 백호상으로부터 큰 광명을 놓으니 이름이 여래출현이라고 했듯이 여래가 출현함으로 인해 사람과 일체 존재의 진실한 모습이 밝게 드러나게 되었다. 그 광명이 시방의 온 허공 법계의 일체 세계를 널리 비추며 오른쪽으로 열 번 돌아 여래의 한량없이 자재하심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없는 모든 보살 대중들을 깨우치며, 일체 시방세계를 진동시키며, 일체 모든 악도의 고통을 멸하여 없애며, 일체 모든 마군의 궁전을 덮어 가렸다. 아울러 일체 모든 부처님 여래께서 보리좌에 앉아서 평등하고 바른 깨달음을 이루심과 일체 도량에 모인 대중들을 나타내 보였다.” 이 품은 여래가 이 세상에 출현하여 진리의 가르침을 널리 편 것을 광명으로 표현하여 환희심이 절로 일어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품이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9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1024
정가 10000
화엄경』제49권에는 36. 보현행품(普賢行品)이 수록되었다.이 품에서는 모든 보살들이 다른 보살에게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면 곧 백만 장애의 문을 이루게 된다고 하여 성내는 마음을 내는 것을 크게 경계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성내는 마음을 일으키면 일어나는 백만 가지의 장애의 예로 이른바 보리를 보지 못하는 장애, 바른 법을 듣지 못하는 장애, 깨끗하지 못한 세계에 태어나는 장애, 모든 악한 갈래에 태어나는 장애, 모든 어려운 곳에 태어나는 장애, 모든 질병이 많은 장애, 비방을 많이 받는 장애, 우둔한 모든 갈래에 태어나는 장애, 바른 생각을 파괴해 잃어버리는 장애, 삼세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종성을 멀리 여의는 장애등을 만난다고 설하였다.그러고는 이러한 장애를 다스리는 심묘한 법에 대하여 설하였다. 모든 보살들이 보살행을 빨리 만족하려면 먼저 열 가지 법을 부지런히 닦아야 하고, 열 가지 청정함을 구족해야 하고, 열 가지 광대한 지혜를 구족해야 하고, 열 가지 두루 들어감에 들어가야 하고, 열 가지 수승하고 미묘한 마음에 머물러야 하고, 열 가지 불법의 교묘한 지혜를 얻어야 함을 낱낱이 설해 마치고 앞에서 설한 불법을 공경히 받아 지니기를 권하면서 만약 보살이 이 법을 받아 지니기만 하면 공덕의 힘을 조금만 써도 빨리 최상의 깨달음을 얻고, 일체 불법을 다 구족하게 되며 삼세 모든 부처님의 법과 평등하게 된다고 밝혔다.이어 보현보살이 법을 설하고 나자 상서가 나타나서 증명을 보임을 밝히고 열 세계의 작은 먼지 수같이 많은 보살들이 이 세계에 와서 보현보살의 설법을 증명하는 것으로 설법을 마쳤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