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 가면 무심히 보는 풍경들이지만 아무도 설명해주지 않기에 잊고 마는 질문들이다. 그런데 이 궁금증에는 불교만으로는 해답을 제시하기 어렵다. 이 땅에 자리잡은 ‘불교’는 이미 2,600년이라는 긴 세월 무게를 켜켜이 쌓아왔다. 게다가 인도에서 출발해 중국을 거쳐 한반도까지 참 멀리도 왔지 않은가. 그렇기에 사찰에 자리잡은 풍경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도구들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나온 책들은 대부분 불교 교리로만 설명하거나 양식의 변화에만 치중해 설명해 왔다. 당연히 잘못된 내용을 반복해서 생산해 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책은 다르다. 인도에서 출발한 불교를 씨줄로, 이 땅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신선사상이나 민속신앙 등을 날줄로 역사와 문화를 넘나들며 말없이 자리를 지켜온 사찰의 이것저것에 대해 종횡무진 설명한다. 때로는 인도 저 넘어 그리스 ·로마 혹은 유교나 도교를 넘어 기독교와 이슬람까지 넘나들어야 할 때도 있었다.
자현 스님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율장)와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건축) 그리고 고려대학교 철학과(선불교)와 동국대학교 역사교육학과(한국 고대사) 및 동국대학교 국어교육학과(불교 교육)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술학과의 박사과정(회화)을 수료했다.
동국대학교 강의전담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에서 교수와 불교학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월정사 교무국장과 조계종 교육아사리 그리고 《불교신문》 논설위원과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및 상하이 푸단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맡고 있다.
인도·중국·한국·일본과 관련된 160여 편의 논문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수록했으며,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와 『스님의 논문법』 등 50여 권의 저서를 펴냈다. 저서 가운데 『불교미술사상사론』은 2012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상·하)』는 2012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2014년)와 『스님의 비밀』(2016년), 『불화의 비밀』(2017년), 『스님,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2019년)은 각각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다. 또 『백곡 처능, 조선불교 철폐에 맞서다』는 2019년 불교출판문화상 붓다북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제7회 영축문화대상(2019)과 제1회 한암상(2020)을 수여하기도 했다.
· BTN불교TV <자현스님과 떠나는 붓다 로드Buddha Road> 진행
· 네이버 밴드 <쏘댕기기> band.us/@kumarajiva
· 유튜브 <자현스님의 쏘댕기기>
1장
산문이 열리고 이름이 생기다
01.절은 왜 산으로 갔을까
절을 대표하는 이름 산사山寺이야기
02.사찰은 기도와 수행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었다
비보사찰, 역참사찰, 능침사찰 등 다양했던 사찰의 기능
03.사찰에 이름을 붙일 때도 원칙이 있다
사, 원, 암자, 토굴, 난야 등 규모와 구조에 따라서 달라지는 사찰의 이름
2장
일주문에서 대웅전까지
04.여기서부터는 사찰이니 모두 말에서 내리시오
사찰 입구의 하마비와 당간
05.인도의 화장 문화는 어떻게 불교에 유입되었나
부도와 화장
06.담 없는 문에는 무슨 의미가 숨겨져 있을까
사찰의 삼문三門구조와 의미
07.탑의 층수는 왜 모두 홀수일까
탑 건축의 원칙
08.탑의 모양을 보면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의 탑을 구별하는 방법
09.석등에는 조명의 기능이 없었다
사찰 마당을 장엄하는 석등 이야기
3장
전각의 배치와 장엄
10.가람배치에도 원칙이 있다
직선으로 배치된 전각
11.절에는 왜 전각도 많고 부처님도 많을까
중심 전각과 부속 전각
12.절에는 숨어 있는 전각이 있다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13.절은 궁궐보다 귀하고 부처님은 왕보다 높다
전각의 기와와 단청
14.법당에는 용이 산다
법당 안팎의 용 장식
15.법당은 꽃으로 장엄된 궁전이다
사찰의 연꽃과 모란
16.전각의 기둥에도 위계가 있다
절의 기둥과 주춧돌
17.시대의 미감, 건물의 지붕에서도 읽을 수 있다
지붕의 모양과 공포로 살펴본 전각
18.구불구불 한자에는 무슨 뜻이 담겼을까
법당 기둥에 걸린 주련의 의미
4장
안에서 본 법당
19.법당의 부처님은 왜 한 분이 아니고 여러 분일까
일불과 삼불, 칠불과 만불
20.왼쪽이 높을까 오른쪽이 높을까
좌우보처를 구별하는 방법
21.부처님은 손으로 사인(sign)을 보낸다?
불상의 수인을 구별하는 방법
22.불교의 우주론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미단과 닫집
23.부처님 앞에는 왜 쌀이나 초를 올릴까
불단에 올리는 육법공양의 의미
24.보살을 구별할 수 없을 땐 장신구를 살펴라
보살과 지물
25.보살은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이동한다?
보살과 동물
26.염라대왕은 왜 절에 계실까
인도의 신 야마와 염라대왕
27.불보살도 시대에 따라 ‘유행’이 있었다
시대에 따른 신앙의 변천과 불상 조성
28.부처님도 자기만의 ‘구역’이 있다
불상의 위치
29.소승불교의 이상 인격, 대승불교에서 추락하다
나한과 나한신앙
5장
수행과 의식의 상징물
30.사찰은 동물농장이다
사찰에 있는 용, 사자, 거북, 학의 의미
31.불교에서 사용하는 숫자의 비밀
불교를 대표하는 숫자 3, 4, 7 그리고 108
32.사찰에도 기호가 있다
원이삼점, 일원상, 만卍자
33.사찰에서 북도 치고 꽹과리도 쳤다고?
사찰의 대표적인 의식구와 수행구
한 권으로 읽는 불교문화와 사찰에 대한 종합 안내서
사찰에 대해 다룬 ‘종횡무진 크로스오버’ 인문 교양서
지금까지 나온 ‘불교문화서’가 독자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소해 주지 못하는 이유는 불교의 전개나 양식의 변천 등에만 초점을 맞춰 ‘사찰’을 설명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불교가 거쳐 온 모든 지역의 문화가 하나하나, 우리의 ‘사찰’에 영향을 끼쳤음에 주목하며 그 전개 과정을 탐사한다. 이 책이 2013년 출간된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사랑을 받는 이유이다.
물론 이 책은 학술서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내용들은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어져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하마비나 일주문에서 시작해 각 전각은 물론 의식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도구까지 사찰 곳곳에 숨겨진 ‘비밀’을 독자들에게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설명에는 양식의 변천뿐 아니라 신앙의 변천까지 모두 동원되었다. 필자는 문답을 통해 사찰 안에 깃든 문화와 역사에 대해 재밌는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불교를 신앙하는 이들에게는 더 깊은 믿음과 깨침을 주고 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더 깊은 역사와 이해를 보태 준다. 개정판에서는 더 큰 판형과 갱신된 이미지로 세련됨을 더하고, 어려운 용어가 나올 때마다 해설 코너를 가미해 이해도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