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소개
- 저자
- 목차
- 편집자 리뷰
최초, 최고, 최대라는 세 가지 수식어를 동시에 갖고 있는 경전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약칭 『화엄경』)은 불교의 수많은 경전(經典) 가운데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한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부처님의 깨달은 진리의 내용을 어떤 방편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 보였기 때문에 그만큼 가장 어려운 경전이기도 하다. 이런 연유로 『화엄경』은 불교 ‘최고’의 경전이기도 하지만 또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화엄경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4세기경부터 산스크리트에서 한역(漢譯)된 이래 『화엄경』은 동아시아 사상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6세기경에는 중국에 『화엄경』을 중심으로 한 종문(화엄종-현수종)이 성립해 중국불교사 전반을 주도하며 관통했고 이후 중국에 뿌리내린 선불교나 심지어 신유학에까지 『화엄경』의 영향이 미쳤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 사상계에 화엄경이 미친 영향 역시 지대하다. 원효와 의상은 한국에 화엄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화엄종의 문을 연 한국 사상계의 대표적인 두 거목이다. 이후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승과(僧科)에서도 『화엄경』은 빠져 본 적이 없다. 특히 ‘종교’로서의 불교가 큰 위기에 처했던 조선 시대에도 매한가지였다. 승려는 물론 유학자들도 『화엄경』 읽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추사 김정희는 초의 선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화엄경』을 읽고 있는데 (『화엄경』의) 교차되어 나타나는 묘리가 (그렇게 된) 연유를 밝히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며 초의 선사에게 『화엄경』의 가르침을 받고 싶다는 의중을 전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불교 안팎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라고 얘기하는 『화엄경』은 특히 근대 이후에는 그 유명세에 비해 더욱 접근하기 어려운 경전이었다.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너무 방대하고 너무 난해하였기 때문이다.
첫째, 화엄경은 너무 방대하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화엄경은 모두 4종이다. 각각 40권본, 60권본, 80권본이 있고 티베트어로 된 화엄경이 있다.(산스크리트로 된 것은 「십지품」과 「입법계품」 등 일부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 중 40권본은 『화엄경』에서 「입법계품」만 따로 떼어 놓은 것이니 차치하고 60권본, 80권본, 그리고 티베트본이 있는데 그 분량이 어마어마하다. 그러니 누구나 선뜻 그 시작의 엄두를 내기 힘들었다.
둘째는 난해함, 즉 단단한 언어와 이해의 벽이다.
산스크리트에서 한역된 『화엄경』은 근대 이후 모두 네 차례 한글화됐다. 용성, 운허, 탄허, 무비 스님이 역경의 주인공이다. 하지만 한글로 되어 있다고 누구나 『화엄경』을 볼 수는 없었다. 난해한 번역도 문제였지만 쉬운 한글이라도 한자 하나하나에 담겼던 뜻을 더 깊이 풀어내 주는 작업이 없었기 때문에 한역 『화엄경』만큼 한글 『화엄경』 역시 접근이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불교계 안팎에서는 스님이나 재가불자는 물론이고 동양사상 전반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화엄경』 ‘강설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오직 한 사람, 무비 스님만이 할 수 있었던 작업
『화엄경』 강설본 출판의 요구는 오래되었지만 『화엄경』을 강설할 만한 실력 그리고 이걸 책으로 엮기 위해 원고를 쓸 막대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할 ‘한 사람’이 그동안 나타나지 않았다. 사실 『화엄경』 강설은 중국불교에서도 당나라 시대 이후 청량 징관, 이통현 장자 등에 의해 오직 3~4차례만 시도되었던 대역사이고 근대 이후에는 전 세계를 통틀어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을 만큼 어려운 작업이다.
만약 현재 한국불교계에서 이 작업을 할 수 있을 만한 사람을 꼽으라면 단연 무비 스님이었다. 탄허 스님의 강맥을 이은 무비 스님은 우리나라에서는 첫 손가락으로 꼽히는 현존하는 대강백이면서 경전을 이해하기 쉽게 풀 수 있는 대중성까지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진척이 늦었던 『화엄경』 강설은 몇 년 전부터 스님과 재가불자를 대상으로 『화엄경』 법회가 몇 년째 계속되면서 서서히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
二十二. 십무진장품十無盡藏品
십무진장품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4회 4품 설법의 본론에 해당하는 십행법문을 마치고 그 결론에 해당하는 품이다. 십행법에서 더 훌륭하게 나아가는 덕을 보였다. ‘열 가지 다함이 없는 장藏’에서 장藏이란 창고, 곳집, 곳간, 갈무리한 장소, 저장되어 있는 곳 등의 뜻이다. 그래서 그곳에 쌓아 두었던 것을 출생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를테면 하나의 곳집인 한마음 안에 법계를 함유하고 있다. 그 한마음은 곧 차별 없는 참사람이며, 모든 사람의 참마음이며, 진여본성이며, 참생명이다. 그것에 온갖 덕을 거두어 그 활용과 작용을 내는 것이 하나하나 다함이 없다. 화엄경의 이치가 늘 그렇듯이 일체 존재와 일체 법의 원만성에 의지하여 만수滿數인 10을 나타내어서 열 가지 무진장이 되었다.
여천 무비 如天 無比
1943년 영덕에서 출생하였다. 1958년 출가하여 덕흥사, 불국사, 범어사를 거쳐 1964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하고 동국역경연수원에서 수학하였다. 10여 년 선원생활을 하고 1976년 탄허 스님에게 화엄경을 수학하고 전법, 이후 통도사 강주, 범어사 강주, 은해사 승가대학원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장, 동국역경원장, 동화사 한문불전승가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8년 5월에는 수행력과 지도력을 갖춘 승랍 40년 이상 되는 스님에게 품서되는 대종사 법계를 받았다. 현재 부산 문수선원 문수경전연구회에서 150여 명의 스님과 300여 명의 재가 신도들에게 화엄경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다음 카페 ‘염화실’(http://cafe.daum.net/yumhwasil)을 통해 ‘모든 사람을 부처님으로 받들어 섬김으로써 이 땅에 평화와 행복을 가져오게 한다.’는 인불사상人佛思想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 『대방광불화엄경 강설』(전 81권), 『무비 스님의 유마경 강설』(전 3권), 『대방광불화엄경 실마리』, 『무비 스님의 왕복서 강설』, 『무비 스님이 풀어 쓴 김시습의 법성게 선해』, 『법화경 법문』, 『신금강경 강의』, 『직지 강설』(전 2권), 『법화경 강의』(전 2권), 『신심명 강의』, 『임제록 강설』, 『대승찬 강설』, 『당신은 부처님』, 『사람이 부처님이다』, 『이것이 간화선이다』, 『무비 스님과 함께하는 불교공부』, 『무비 스님의 증도가 강의』, 『일곱 번의 작별인사』, 무비 스님이 가려 뽑은 명구 100선 시리즈(전 4권) 등이 있고, 편찬하고 번역한 책으로 『화엄경(한글)』(전 10권), 『화엄경(한문)』(전 4권), 『금강경 오가해』 등이 있다.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21
二十二. 십무진장품十無盡藏品
1. 삼세 부처님들의 열 가지 장
2. 열 가지 장의 이름
3. 공덕림보살이 열 가지 장을 설하다
1) 신장을 설하다
(1) 믿음의 상을 밝히다
(2) 믿음의 힘을 밝히다
1> 업의 작용
2> 까닭을 해석하다
3> 믿음의 성취를 말하다
2) 계장을 설하다
(1) 열 가지 계를 성취하다
(2) 널리 이익을 주는 계
(3) 받지 않는 계
(4) 머물지 않는 계
(5) 뉘우침 없는 계
(6) 어기지 않는 계
(7) 괴롭히고 해롭게 하지 않는 계
(8) 섞임이 없는 계
(9) 탐하여 구함이 없는 계
(10) 과실이 없는 계
(11) 헐고 범함이 없는 계
3) 참장을 설하다
(1) 악을 지은 것을 부끄러워하다
(2) 과거에는 악을 짓고 부끄러워함이 없었다
(3) 부끄러운 상을 나타내다
4) 괴장을 설하다
(1) 과거 부끄러웠던 일을 생각하여 수행하다
(2) 중생을 해치고도 부끄러워함이 없다
(3) 세간사를 돌아보아 부끄러워하는 행을 닦다
5) 문장을 설하다
(1) 보살이 온갖 법을 들어서 알다
(2) 인연으로 유무 생멸하는 법
(3) 세간의 법
(4) 출세간의 법
(5) 함이 있는 법
(6) 함이 없는 법
(7) 기록할 수 있는 법
(8) 기록할 수 없는 법
1> 아에 나아가서 무기를 밝히다
2> 범부와 성인에 나아가서 무기를 밝히다
3> 선후의 범부와 성인에 나아가서 무기를 밝히다
4> 세계에 나아가서 무기를 밝히다
5> 생과 사의 경계선에 나아가서 무기를 밝히다
(9) 많이 들어 아는 뜻을 나타내다
6) 시장을 설하다
(1) 열 가지 보시의 이름
(2) 나누어 주는 보시
(3) 전부 다하는 보시
(4) 속보시
(5) 겉보시
(6) 안팎보시
(7) 일체보시
(8) 과거보시
(9) 미래보시
(10) 현재보시
(11) 최후의 보시
7) 혜장을 설하다
(1) 지혜로 모든 법을 사실대로 알다
(2) 사실대로 아는 뜻을 해석하다
(3) 실다운 성품을 알게 하려고 법을 설함
(4) 지혜의 무진장은 열 가지 다할 수 없음이 있다
(5) 지혜의 장에 머무는 이익
8) 염장을 설하다
(1) 미진수와 같은 일을 다 기억하다
(2) 기억에 열 가지 수승함이 있다
(3) 기억의 장에 머무는 이익을 밝히다
9) 지장을 설하다
(1) 제법을 들어서 오랫동안 지님을 밝히다
(2) 지니는 덕의 양을 밝히다
10) 변장을 설하다
(1) 부처님의 경전과 똑같이 법을 설하다
(2) 말의 무진장으로 얻은 이익
4. 장의 수승함을 말하다
5. 열 가지 무진장에는 열 가지 다함없는 법이 있다
이 책은 불교의 수많은 경전(經典)가운데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한 경전으로 알려져 있는 『대방광불화엄경』(약칭 『화엄경』)을 강설한 것이다. 부처님의 깨달은 진리의 내용을 어떤 방편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 보였기 때문에 그만큼 가장 어려운 경전이지만 무비 스님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