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39품 중에서 부처님이 설하신 것은 오직 아승지품과 수량품뿐이다. 십신품은 문수사리보살, 십주품은 법혜보살, 십행품은 공덕림보살, 십회향품은 금강당보살, 십지품은 금강장보살님이 설주가 되어 설했다.
아승지품에서 아승지란 무량해서 헤아릴 수 없다는 뜻으로,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을 말한다. 또한 이 품에서 아승지는 진리의 세계는 무한, 무수, 무량, 무변하여 생각으로 도달할 수 없는 깨친 자의 경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세계에서 나타난 법은 생겨나지도 않고, 소멸되는 것도 없으며, 더러운 것도 없고, 깨끗한 것도 없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
이 품에서는 자성여래의 무한히 높고 무한히 깊고 무한히 넓은 이치를 헤아려 보기 위하여 먼저 숫자의 단위를 열거하고 게송에서는 무한한 덕을 밝혔다.
수량품은화엄경39품 중에서 문장이 제일 짧은 품으로 그 내용은 여래의 긴 수명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광대함을 밝혔다.부처님의 수명에 따라 부처님의 덕성을 시간의 무한성을 통해 밝히며 화엄 속에 순간과 영원이 공존한다는 상즉상입(相卽相入)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여래의 수명이 광대하고 자재함을 심왕보살이 밝히고 있는데 부처님이 아승지품에서 말한 불가설의 무량한 공덕을 이미 갖추고 있다면, 수량품에서는 얼마나 오랜 세월 동안 그 공덕을 누리고 사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제보살주처품은 경전 표현상 중생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방위의 팔방(八方) 세계와 산의 세계와 바다 세계에 여러 불보살이 수행하고 설법하심을 비유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즉 보살이 어떤 장소에서 그 공덕을 누리고 사는가에 대해 밝히는 품으로 여덟 방위와 산과 바다 등 열 곳을 밝히고 있는데 동방에는 선인산에 금강승보살이, 남방에는 승봉산에 법혜보살이, 서방에는 금강염산에 정진무외행보살이, 북방에는 향적산에 향상보살이, 동북방에는 청량산에 문수사리보살이, 바다 가운데는 금강산에 법기보살이, 동남방에는 지제산에 천관보살이, 서남방에는 광명산에 현승보살이, 서북방에는 향풍산에 향광보살이, 큰 바다 가운데는 장엄굴에 보살들이 각각 그들의 권속 보살들과 함께 있으면서 법을 설한다고 밝히고 있다.
해주 스님은 “『화엄경』은 불자들이 이르고자 하는 구경처인 불세계와 그 불세계에 도달하고 장엄하는 다양한 해탈방편을 설한 경”이라고 설명한다. 『화엄경』의 법문은 자신의 본래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가르침이며, 세간의 모든 존재들과 더불어 함께하는 지혜를 완성하는[安住世間成正覺] 가르침이라고 한다. 그 모든 것이 부처님의 지혜인 마음이 만든 것[一切唯心造]이고, 신심에 의해 발현하는 보리심(菩提心)의 공덕행에 의한 해탈장엄으로서 해인(海印)이라 말할 수 있다고 한다.
“『화엄경』 유통 불사를 시작할 수 있게 되기까지 불보살님의 가피와 삼세인연에 감사하고, 보은행(報恩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모두의 원력으로 80권 전권을 발간하여 『화엄경』 간행불사가 원만히 회향되도록 정진하겠다. 『화엄경』이 널리 유통되고 독송 사경 공덕으로 화엄법계의 해탈장엄에 동참할 수 있기를 발원한다.”고 소회를 전했다.
30.아승지품(阿僧祇品)
31.수량품(壽量品)
32.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피면서, 여타 교감본을 참조하였으며 이체자도 가능한 한 고려대장경의 특징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문 원문에 부기(附記)한 음사와 현토는 저본의 현토에 의거하였으며 번역에 따라 일부 수정하였다.
한글 번역은 기존의 번역본과 강설집을참고하는 한편 해석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은 그 내용을 더 깊이 천착(穿鑿)하여 해주 스님의 해석을 반영했다.
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