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도서
도서

분야별 도서

ALL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6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724
정가 10000
『화엄경』 제46권에는 33. 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이 수록되었다.불부사의법품은 총 2권으로 이루어졌으며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을 드러내어 밝히는 품으로 보살들이 생각으로 다음과 같이 열 가지 법을 청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모든 부처님의 국토는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본래 서원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종성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출현하심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몸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음성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지혜는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자재하심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걸림 없음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해탈은 어찌하여 부사의한가?’보살들이 부처님의 부사의함에 대해 생각하기를, 부처님의 국토, 서원, 종성, 출현, 몸, 음성, 지혜, 자재하심, 걸림 없음, 해탈 등 헤아릴 수 없음을 청련화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연화장보살에게 설하고 그에 따라 낱낱이 부사의 법문을 설하고 있다. 불부사의품에서는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 열 가지 중에서 첫째, 국토의 부사의함에서부터 여덟째, 부처님의 자재하심 중 자재한 법과 원만한 불법과 훌륭한 방편까지 설하여 마쳤다.   이 품에서는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은 어떠한 말로 표현하더라도 다할 수 없고 그 공덕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음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6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724
정가 15000
『화엄경』 제46권에는 33. 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이 수록되었다.불부사의법품은 총 2권으로 이루어졌으며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을 드러내어 밝히는 품으로 보살들이 생각으로 다음과 같이 열 가지 법을 청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모든 부처님의 국토는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본래 서원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종성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출현하심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몸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음성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지혜는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자재하심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걸림 없음은 어찌하여 부사의하며, 모든 부처님의 해탈은 어찌하여 부사의한가?’보살들이 부처님의 부사의함에 대해 생각하기를, 부처님의 국토, 서원, 종성, 출현, 몸, 음성, 지혜, 자재하심, 걸림 없음, 해탈 등 헤아릴 수 없음을 청련화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연화장보살에게 설하고 그에 따라 낱낱이 부사의 법문을 설하고 있다. 불부사의품에서는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 열 가지 중에서 첫째, 국토의 부사의함에서부터 여덟째, 부처님의 자재하심 중 자재한 법과 원만한 불법과 훌륭한 방편까지 설하여 마쳤다.   이 품에서는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은 어떠한 말로 표현하더라도 다할 수 없고 그 공덕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음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제목 연등회요 1
저자 회옹오명 편저 / 김태완 역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717
정가 42000
『연등회요1-선문답과 법문 공안집』은 송나라 선사 회옹오명(晦翁悟明)의 『종문연등회요(宗門聯燈會要)』(30권)를 국내 첫 완역하는 역경 불사의 첫걸음이다. 특히 구어체인 백화문(白話文)으로 기록된 『종문연등회요』 원전(原典)을 한중일 최초로 번역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흔히 『연등회요』로 불리는 『종문연등회요』는 남송 대혜종고의 3세 문하이자 천주 숭복사의 주지였던 회오오명 선사가 선종(禪宗)의 정통 법계를 이어 온 조사와 선사 656명의 선문답과 상당법어, 전법게 등을 모은 공안집(公案集)이다. ‘선종의 지침서’로 평가받는 이 책은 고려 후기 진각국사 혜심이 편찬한 『선문염송(禪門拈頌)』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연등회요1-선문답과 법문 공안집』은 『만신찬속장경(卍新纂續藏經)』 제79책에 실려 있는 『종문연등회요』를 번역한 것으로, 역자인 김태완 무심선원장이 여러 판본으로 전해지는 원전을 치밀하고 세심하게 비교‧대조해 내용 및 표기상의 오류를 바로잡은 것이 특징이다. 원문과 번역문을 나란히 배치해 한 단락씩 대역(對譯)하는 형식을 취했으며, 상세한 주석을 달아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역자는 30권으로 구성된 『종문연등회요』를 5권씩 나누어 모두 6책으로 출간할 예정이다. 『연등회요-선문답과 법문 공안집』은 중국 조사선(祖師禪)의 뿌리와 요체를 쉽고 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독자들이 역대 선지식들의 화두와 가르침을 참구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5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624
정가 10000
화엄경』 제45권에는 30.아승지품(阿僧祇品), 31.수량품(壽量品), 32.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이 수록되었다.화엄경 39품 중에서 부처님이 설하신 것은 오직 아승지품과 수량품뿐이다. 십신품은 문수사리보살, 십주품은 법혜보살, 십행품은 공덕림보살, 십회향품은 금강당보살, 십지품은 금강장보살님이 설주가 되어 설했다.   아승지품에서 아승지란 무량해서 헤아릴 수 없다는 뜻으로,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을 말한다. 또한 이 품에서 아승지는 진리의 세계는 무한, 무수, 무량, 무변하여 생각으로 도달할 수 없는 깨친 자의 경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 세계에서 나타난 법은 생겨나지도 않고, 소멸되는 것도 없으며, 더러운 것도 없고, 깨끗한 것도 없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이 품에서는 자성여래의 무한히 높고 무한히 깊고 무한히 넓은 이치를 헤아려 보기 위하여 먼저 숫자의 단위를 열거하고 게송에서는 무한한 덕을 밝혔다.  수량품은 화엄경39품 중에서 문장이 제일 짧은 품으로 그 내용은 여래의 긴 수명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광대함을 밝혔다.부처님의 수명에 따라 부처님의 덕성을 시간의 무한성을 통해 밝히며 화엄 속에 순간과 영원이 공존한다는 상즉상입(相卽相入)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여래의 수명이 광대하고 자재함을 심왕보살이 밝히고 있는데 부처님이 아승지품에서 말한 불가설의 무량한 공덕을 이미 갖추고 있다면, 수량품에서는 얼마나 오랜 세월 동안 그 공덕을 누리고 사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제보살주처품은 경전 표현상 중생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방위의 팔방(八方) 세계와 산의 세계와 바다 세계에 여러 불보살이 수행하고 설법하심을 비유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즉 보살이 어떤 장소에서 그 공덕을 누리고 사는가에 대해 밝히는 품으로 여덟 방위와 산과 바다 등 열 곳을 밝히고 있는데 동방에는 선인산에 금강승보살이, 남방에는 승봉산에 법혜보살이, 서방에는 금강염산에 정진무외행보살이, 북방에는 향적산에 향상보살이, 동북방에는 청량산에 문수사리보살이, 바다 가운데는 금강산에 법기보살이, 동남방에는 지제산에 천관보살이, 서남방에는 광명산에 현승보살이, 서북방에는 향풍산에 향광보살이, 큰 바다 가운데는 장엄굴에 보살들이 각각 그들의 권속 보살들과 함께 있으면서 법을 설한다고 밝히고 있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5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624
정가 15000
화엄경』 제45권에는 30.아승지품(阿僧祇品), 31.수량품(壽量品), 32.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이 수록되었다.화엄경 39품 중에서 부처님이 설하신 것은 오직 아승지품과 수량품뿐이다. 십신품은 문수사리보살, 십주품은 법혜보살, 십행품은 공덕림보살, 십회향품은 금강당보살, 십지품은 금강장보살님이 설주가 되어 설했다.   아승지품에서 아승지란 무량해서 헤아릴 수 없다는 뜻으로,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을 말한다. 또한 이 품에서 아승지는 진리의 세계는 무한, 무수, 무량, 무변하여 생각으로 도달할 수 없는 깨친 자의 경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 세계에서 나타난 법은 생겨나지도 않고, 소멸되는 것도 없으며, 더러운 것도 없고, 깨끗한 것도 없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이 품에서는 자성여래의 무한히 높고 무한히 깊고 무한히 넓은 이치를 헤아려 보기 위하여 먼저 숫자의 단위를 열거하고 게송에서는 무한한 덕을 밝혔다.  수량품은 화엄경39품 중에서 문장이 제일 짧은 품으로 그 내용은 여래의 긴 수명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광대함을 밝혔다.부처님의 수명에 따라 부처님의 덕성을 시간의 무한성을 통해 밝히며 화엄 속에 순간과 영원이 공존한다는 상즉상입(相卽相入)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여래의 수명이 광대하고 자재함을 심왕보살이 밝히고 있는데 부처님이 아승지품에서 말한 불가설의 무량한 공덕을 이미 갖추고 있다면, 수량품에서는 얼마나 오랜 세월 동안 그 공덕을 누리고 사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제보살주처품은 경전 표현상 중생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방위의 팔방(八方) 세계와 산의 세계와 바다 세계에 여러 불보살이 수행하고 설법하심을 비유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즉 보살이 어떤 장소에서 그 공덕을 누리고 사는가에 대해 밝히는 품으로 여덟 방위와 산과 바다 등 열 곳을 밝히고 있는데 동방에는 선인산에 금강승보살이, 남방에는 승봉산에 법혜보살이, 서방에는 금강염산에 정진무외행보살이, 북방에는 향적산에 향상보살이, 동북방에는 청량산에 문수사리보살이, 바다 가운데는 금강산에 법기보살이, 동남방에는 지제산에 천관보살이, 서남방에는 광명산에 현승보살이, 서북방에는 향풍산에 향광보살이, 큰 바다 가운데는 장엄굴에 보살들이 각각 그들의 권속 보살들과 함께 있으면서 법을 설한다고 밝히고 있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4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524
정가 10000
『화엄경』 제44권에는 28. 십통품(十通品) · 29. 십인품(十忍品)이 수록되었다.화엄경에서는 삼매를 열 가지 큰 삼매라고 하여 여래의 정각과 일체 지혜와 큰 자비와 큰 신통이 모두 삼매로부터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래서 앞의 27. 십정품에서 열 가지의 큰 삼매를 설하였고, 이러한 삼매로부터 다시 열 가지의 신통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을 28. 십통품(十通品)에서 자세하게 설했다.십통(十通)이란, 보살마하살의 열 가지의 신통을 말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이의 마음을 잘 아는 지혜 신통, 둘째, 걸림 없는 천안의 지혜 신통, 셋째, 과거제 겁에 머물러 살던 것을 아는 지혜 신통, 넷째, 미래제의 겁이 다하도록 아는 지혜 신통, 다섯째, 걸림 없이 청정한 천이의 지혜 신통, 여섯째, 자체 성품이 없고 동작이 없음에 머물러 일체 부처님 세계에 가는 지혜 신통, 일곱째, 일체 말을 잘 분별하는 지혜 신통, 여덟째, 보살마하살의 그림자 같은 인, 아홉째, 보살마하살의 허깨비 같은 인, 열째, 보살마하살의 허공 같은 인이다.십통품에서는 이와 같이 열 가지 신통이 삼매로부터 나오게 된 것을 설하였다.십통품(十通品)을 설하여 마치고 29. 십인품(十忍品)을 설하는데 십인품은 등각위(等覺位) 보살의 지위에서 일체 법의 실상을 어떻게 깨달아 아는가를 열 가지의 인으로 밝힌 품이다. 여기서 인(忍)은 일체 법의 실상을 마음으로 깨달아 아는 것을 뜻하는데 “보살마하살에게 열 가지 인이 있으니, 만약 이 인을 얻으면 곧 일체 보살의 걸림 없는 인의 지위에 이르러 일체 불법이 걸림이 없고 다함이 없다.”라고 하였다.열 가지 인이란 첫째, 모든 부처님께서 설하시는 법을 듣고 놀라지 않고 깊이 믿고 깨달아 이해하며, 닦아 익혀 편안히 머무르는 음성의 인, 둘째, 모든 법을 사유하고 관찰하며, 마음을 청정하게 하며, 나아가 성취하는 따라주는 인, 셋째, 조그만 법도 생겨남을 보지 않고 또한 조그만 법도 사라짐을 보지 않는 생멸이 없는 법의 인, 넷째, 일체 법이 모두 다 환술과 같아서 인연을 쫓아 일어남을 알고, 한 법에서 많은 법을 이해하며 많은 법에서 한 법을 이해하는 환술 같은 인, 다섯째, 일체 세간이 아지랑이와 같음을 아는 아지랑이 같은 인, 여섯째, 일체 세간이 꿈과 같음을 아는 꿈 같은 인, 일곱째, 일체 음성이 모두 메아리 같아서 옴도 없고 감도 없음을 알고 나타내 보이는 메아리 같은 인, 여덟째, 둘이 없는 법 가운데 두 가지 모양을 분별하며 교묘한 방편으로 통달하여 걸림이 없는 그림자 같은 인, 아홉째, 일체 세간이 모두 다 허깨비 같음을 아는 허깨비 같은 인, 열째, 일체 법계가 마치 허공과 같음을 아는 허공 같은 인이다.  
제목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4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524
정가 15000
  『화엄경』 제44권에는 28. 십통품(十通品) · 29. 십인품(十忍品)이 수록되었다.화엄경에서는 삼매를 열 가지 큰 삼매라고 하여 여래의 정각과 일체 지혜와 큰 자비와 큰 신통이 모두 삼매로부터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래서 앞의 27. 십정품에서 열 가지의 큰 삼매를 설하였고, 이러한 삼매로부터 다시 열 가지의 신통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을 28. 십통품(十通品)에서 자세하게 설했다. 십통(十通)이란, 보살마하살의 열 가지의 신통을 말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이의 마음을 잘 아는 지혜 신통, 둘째, 걸림 없는 천안의 지혜 신통, 셋째, 과거제 겁에 머물러 살던 것을 아는 지혜 신통, 넷째, 미래제의 겁이 다하도록 아는 지혜 신통, 다섯째, 걸림 없이 청정한 천이의 지혜 신통, 여섯째, 자체 성품이 없고 동작이 없음에 머물러 일체 부처님 세계에 가는 지혜 신통, 일곱째, 일체 말을 잘 분별하는 지혜 신통, 여덟째, 보살마하살의 그림자 같은 인, 아홉째, 보살마하살의 허깨비 같은 인, 열째, 보살마하살의 허공 같은 인이다. 십통품에서는 이와 같이 열 가지 신통이 삼매로부터 나오게 된 것을 설하였다.십통품(十通品)을 설하여 마치고 29. 십인품(十忍品)을 설하는데 십인품은 등각위(等覺位) 보살의 지위에서 일체 법의 실상을 어떻게 깨달아 아는가를 열 가지의 인으로 밝힌 품이다. 여기서 인(忍)은 일체 법의 실상을 마음으로 깨달아 아는 것을 뜻하는데 “보살마하살에게 열 가지 인이 있으니, 만약 이 인을 얻으면 곧 일체 보살의 걸림 없는 인의 지위에 이르러 일체 불법이 걸림이 없고 다함이 없다.”라고 하였다.열 가지 인이란 첫째, 모든 부처님께서 설하시는 법을 듣고 놀라지 않고 깊이 믿고 깨달아 이해하며, 닦아 익혀 편안히 머무르는 음성의 인, 둘째, 모든 법을 사유하고 관찰하며, 마음을 청정하게 하며, 나아가 성취하는 따라주는 인, 셋째, 조그만 법도 생겨남을 보지 않고 또한 조그만 법도 사라짐을 보지 않는 생멸이 없는 법의 인, 넷째, 일체 법이 모두 다 환술과 같아서 인연을 쫓아 일어남을 알고, 한 법에서 많은 법을 이해하며 많은 법에서 한 법을 이해하는 환술 같은 인, 다섯째, 일체 세간이 아지랑이와 같음을 아는 아지랑이 같은 인, 여섯째, 일체 세간이 꿈과 같음을 아는 꿈 같은 인, 일곱째, 일체 음성이 모두 메아리 같아서 옴도 없고 감도 없음을 알고 나타내 보이는 메아리 같은 인, 여덟째, 둘이 없는 법 가운데 두 가지 모양을 분별하며 교묘한 방편으로 통달하여 걸림이 없는 그림자 같은 인, 아홉째, 일체 세간이 모두 다 허깨비 같음을 아는 허깨비 같은 인, 열째, 일체 법계가 마치 허공과 같음을 아는 허공 같은 인이다.
제목 머리 한번 만져 보게나, 극락 간다네
저자 함현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515
정가 18,000
전 봉암사 주지 함현 스님의 ‘정토행자’ 공표정토신앙으로 안내하는 ‘염불수행 지침서’봉암사 주지를 지낸 한국불교 대표 선승(禪僧) 함현 스님이 ‘정토행자’의 길을 걷겠다 공표하고, 뭇 중생들을 정토신앙으로 이끌 염불수행 지침서를 펴냈다. 2022년 펴낸 책의 증보판인 『머리 한번 만져 보게나, 극락 간다네』에서 함현 스님은 참선이 아닌 염불수행에 매진하게 된 이유를 밝히고, 뭇 중생을 아미타불 회상으로 이끌 염불수행법을 소개한다.정토신앙은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을 믿고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면 내세에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하지만 선(禪) 수행을 중시하는 한국불교에서 정토신앙은 오랜 세월 타력신앙 혹은 하근기 수행법으로 치부되어 왔다.그러나 중국의 선사인 영명연수 선사는 “참선만 하고 정토수행을 하지 않으면 열에 아홉이 길을 잃는다.”고 경계했고, 원효대사 역시 “십념(十念)의 염불로도 극락에 왕생한다.”는 가르침을 전하는 등 역대 동아시아의 수많은 선승들이 염불수행을 병행했음을 알 수 있다.1장 ‘함현자계’에는 함현 스님이 부처님께 올린 참회‧발원문과 아미타불 게송이 담겨 있다. 출가의 첫 뜻을 버리지 말자는 다짐과 염불하고 염불해 긴 윤회의 굴택을 벗어나고자 하는 비상한 각오를 읽을 수 있다. 2장 ‘연문수경’과 3장 ‘권수정토문’은 『아미타경』·『무량수경』·『관무량수경』의 정토삼부경을 비롯한 정토문헌과 선지식들의 어록을 통해 염불 공덕과 염불수행법, 염불행자의 마음가짐 등을 제시한다. 부록으로는 정토신앙과 실천의 연원을 밝힌 논문 두 편을 실어 염불과 정토수행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제목 부처님의 작은 선물
저자 최승호
분야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515
정가 16,800
현대 시 문학의 거장 최승호 시인의어른들을 위한 동시집『부처님의 작은 선물』은 현대 시문학의 거장 최승호 시인의 ‘어른들을 위한 동시집’이다. 동시의 새 지평을 연 『말놀이 동시집』 시리즈와 방시혁이 작곡한 『말놀이 동요집』, 카툰 동시집 『치타는 짜장면을 배달한다』 등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아름다운 동시를 꾸준히 창작해 온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불교를 소재로 대자연 속 천진스러운 생명체들을 노래한 동시 60편을 선보인다.시집에는 시인이 아이들의 눈높이로 직접 그린 삽화 60점도 실려 있다. 파란색 털실 뭉치 같은 「청삽살개」는 절로 웃음을 짓게 만들고, 「연등행렬」 속 코끼리는 알록달록한 연등을 떠올리게 한다. 개구쟁이 어린이가 그린 것 같은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그림은 한 편의 선화(禪畵)를 보는 듯 담박(淡泊)하다.시집의 또 다른 특징은 한글 시와 영문 번역을 함께 실어 영어를 배우는 어린이나 한글에 관심을 갖는 외국인들도 즐길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영문 번역은 JustBe 홍대선원의 준한 스님이 직접 감수했다. 스님의 제안으로 ‘섬돌’ ‘소소리바람’ 같은 단어는 발음 그대로 표기한 후 뜻풀이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번역해 말놀이의 재미를 살리면서도 우리 정서를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 
제목 전등수필2
저자 월암스님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515
정가 16,800
우리 시대의 참된 수좌 월암 스님이전하는 전등수필(傳燈隨筆)그 두 번째 이야기!죽비 소리처럼따끔하고 단순 명쾌한 문장으로시대의 물음에 선(禪)적 해답을 제시하다.우리 시대의 참된 수좌(首座)로서 한국불교의 선맥(禪脈)을 잇고 있는 월암 스님이 『전등수필』 그 두 번째 이야기로 돌아왔다.『전등수필』은 월암 스님이 『전등록』과 『선문염송』 등 여러 ‘전등사서(傳燈史書, 선사들의 법어와 선문답, 전법 내력 등을 모아 놓은 책)’를 열람하며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 글귀를 엄선해 수필 형식으로 엮은 책이다. ‘전등사서’ 중에서도 오늘날 우리 삶에 이정표이자 거울이 될 만한 이야기를 골라, 스님 특유의 간결하고 담박한 해설과 법문을 더한 『전등수필』은 지난해 1권이 출간되어 많은 이들의 가슴에 선풍(禪風)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이번 『전등수필 2』는 앞선 1권에서 미처 다 담지 못한 100편의 이야기를 선보인다. 1권에서 ‘오직 모를 뿐’ ‘조고각하’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같이 비교적 널리 알려진 구절들을 소개했다면, 이번 2권에서는 부처님과 옛 선사들의 가르침에 한 걸음 더 들어가 볼 수 있도록 안내한다. 내용은 깊어졌지만 간결하고 담박한 문체로 풀어낸 1권의 재미와 감동만큼은 고스란히 이어진다.『전등수필』 1, 2권에 담아낸 208편의 이야기를 통해 월암 스님은 오랫동안 참구(參究)하며 깨달은 바와 명료하면서도 구체적인 삶의 진리를 들려준다. 죽비 소리처럼 따끔하면서도 단순 명쾌한 스님의 문장이 허기진 독자들의 마음속 공양간을 가득 메워줄 것이다. 
제목 연등문화의 역사
저자 오대혁 백창호
분야 민속학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502
정가 36,000
​한국 연등회 역사와 변천 밝히고인도‧중국‧한국으로 이어진 연등의 문화사 기록‘부처님오신날 밝히는 연등은 연꽃 모양 등[蓮燈]을 말하는 걸까, 아니면 등불[燃燈]을 말하는 걸까?’ ‘우리나라의 연등회는 언제 처음 시작됐을까?’ ‘연등회는 원래 부처님오신날 행사였을까?’해마다 부처님오신날이면 거리마다 연등 물결이 넘실대고, 연등행렬에는 불자는 물론 종교와 국경을 초월해 수십만 명이 참가한다. 하지만 연등회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어떤 성격의 행사였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국가무형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연등회는 어떻게 형성되어 전해져 왔을까.이 책은 한국전통등연구원 오대혁 연구이사와 백창호 원장이 한국 연등회의 역사와 변천 과정을 자세히 밝히고, 인도‧중국‧한국으로 이어진 수천 년의 등불 역사를 종교‧정치‧민속‧문학‧예술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살피면서 연등문화의 고갱이를 드러낸 책이다.특히 연등의 역사와 풍습뿐 아니라 연등을 바라보며 느꼈던 당대인들의 정서를 옛 글과 그림을 통해 살폈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역사이면서 민속인 연등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한 이들의 정서까지 온전하게 드러낸 참된 문화사(文化史)로 평가받는 이유다.한국전통등연구원은 일제강점기 이후 사라져 문헌으로만 남아 있던 전통등을 고증‧재현하기 위해 1996년 결성된 전통등연구회가 전신(前身)으로, 전통등 제작 및 재현전, 국제학술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전통등 전승과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한국전통등연구원의 이러한 성과는 연등회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결정적인 근거가 되었다. 
제목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43권
저자 해주
분야 불교
출판사 담앤북스
발행일 20240424
정가 10000
화엄경』 제43권에는 27. 십정품(十定品) [4]가 수록되었다.제43권에서는 지혜의 근본인 열 가지 삼매 중에서 열 번째 걸림 없는 바퀴(無礙輪) 삼매를 설하고 있다.걸림 없는 바퀴 삼매는 그 이름이 걸림이 없는 삼매이기 때문에 이 삼매에 들어가면 걸림이 없는 말과 뜻의 업에 머물게 된다. 또 걸림이 없는 신구의 삼업에 머물고, 걸림 없는 땅에 머물게 되는데 삼업이 걸림이 없고, 땅이 걸림이 없다면 더 이상 걸릴 것이 없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삼매에 들 때의 방편과 삼매에 머문 뒤의 지혜의 작용, 부처님의 공덕의 포섭함을 설하고 보살의 지혜를 비유로 나타내었다.이어 의과의 수승함과 정보의 자재함을 밝히고 형상 없는 법을 통달하고 부처님이 머무시는 곳과 부처님의 평등한 도리에 머물고 장애 없는 곳에 이르게 됨과 삼매의 이익을 밝혔다.이것으로 총 4권에 이르는 십정품의 긴 법문이 끝이 났다. 열 가지 삼매란 첫째, 보광명 대삼매, 둘째, 묘광명 대삼매, 셋째, 차제변왕제불국토신통 대삼매, 넷째, 청정심심행 대삼매, 다섯째, 지과거장엄장 대삼매, 여섯째, 지광명장 대삼매, 일곱째, 요지일체세계불장엄 대삼매, 여덟째, 일체중생차별신 대삼매, 아홉째, 법계자재 대삼매, 열째, 무애륜 대삼매로 십정품에서는 불법의 수행에서 삼매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설한 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일체지혜를 성취하려면 반드시 선정을 먼저 닦아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십정품의 법문이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