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0권에서는 제7회 십정품 법문이 보광명전에서 펼쳐진다. 제7회 법문에서는 모두 11개의 품을 설하는데 그중 첫 번째 품이 십정품으로 십정품 [1]에서는 앞으로 설하게 될 11품에 대한 서론과 지혜의 근본인 열 가지 삼매를 설하고 있다.
부처님이 보리도량에서 정각을 이루시고 일곱 장소에서 아홉 번에 걸쳐 39품을 설하셨는데 두 번째 법회를 연 장소가 바로 보광명전인데 제7회 법회도 다시 보광명전에서 설해진다.
화엄경 총 80권 중 십정품은 4권으로 구성되는 방대한 품으로 열 가지 삼매의 법문이 설해지는데 부처님이 법을 증명하시고 보현보살에게 보안보살의 질문에 대하여 설명하기를 청하고, 모든 보살들에게는 열 가지 대삼매를 설한다. 그 열 가지는 첫째, 보광명 대삼매, 둘째, 묘광명 대삼매, 셋째, 차제변왕제불국토신통 대삼매, 넷째, 청정심심행 대삼매, 다섯째, 지과거장엄장 대삼매, 여섯째, 지광명장 대삼매, 일곱째, 요지일체세계불장엄 대삼매, 여덟째, 일체중생차별신 대삼매, 아홉째, 법계자재 대삼매, 열째, 무애륜 대삼매이다.
이 열 가지 중 십정품 [1]에서는 첫째, 보광명(普光明) 삼매의 다함이 없는 열 가지 삼매를 설하였는데 지혜가 있음으로 그지없는 큰마음을 내게 된다고 설한 후 그지없는 열 가지 마음, 삼매에 들어가는 열 가지 차별한 지혜, 삼매에 들어가는 공교한 열 가지 지혜, 삼매의 이익 등을 자세히 밝혔다.
계룡산 동학사 전문강원을 졸업하였으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가산지관 대종사에게서 전강하였고,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와 동학승가대학 학장 및 화엄학림학림장, 중앙승가대학교 법인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수미정사 주지로 주석하며 동국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역서로 『의상화엄사상사연구』, 『화엄의 세계』, 『정선 원효』, 『정선 화엄 1』, 『정선 지눌』, 『법계도기총수록』, 『해주스님의 법성게 강설』 등 다수가 있다.
27. 십정품(十正品) [1]
해주 스님의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사경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읽고 쓰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사경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
사경본은 동시에 발간된 독송본에 수록된 한글역을 사경의 편의를 위해 편집을 달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글 번역만 수록되었다. 사경을 마치면 한 권의 한글 독송본이 되므로 원문 없이 한글 독송만을 원하면 사경본만 갖추어도 된다.
한글역은 독송과 사경이라는 책의 역할을 고려하여 읽고 쓰면서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글자 크기를 키워 피로도를 줄이고 독송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
선지식의 법문과 강설을 통해 해소되지 않는 의구심을 푸는 것은 보리심을 내어 신행하는 수행자의 몫이다.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원력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 눈으로 보고 소리 내어 읽고 한 구절 한 구절 따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툭 문리가 트이고 경안이 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