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소개
- 저자
- 목차
- 편집자 리뷰
현대판 ‘부루나존자’ 정여 스님이 일러 주는
내 안의 행복을 찾는 방법:
“지금 이 자리에서 행복하십시오.
그리고 당당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십시오.”
『머무는 그 자리에서 행복을』은 크게 2부로 나누어진다. 제1장부터 제4장까지는 저자가 평소에 수행하면서 바라본 ‘마음’이라는 화두를 아름답고 간결한 문체로 풀어놓고, 제5장에서는 70세의 나이에 선방 정진을 마치고 다시 무문관에서 폐관 수행을 마친 이야기와 오래전 수행한 오룡골에서의 토굴생활을 솔직담백하게 풀어내고 있다. 저자의 글을 읽다 보면 ‘지금 이 자리에서 머무는 그대로 행복을 느끼고 당당히 제 갈 길을 가는 것’이 수행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
“여여(如如)한 본래의 그 자리를 깨우쳐 주는 것이 포교”
쉽고 간결한 문장으로 일러 주는
정여 스님의 위로의 법문
경북 김천 수도암, 현풍 도성암, 경남 하동 쌍계사 등 오랜 선원 생활을 마치고 포교 일선에 뛰어들어 범어사 주지, 참여불교운동본부 이사장 등을 역임하고 세상을향기롭게 대표를 지내는 등 20년을 포교하고 종심의 나이에 다시 선방 수행에 나선 정여 스님. 70세에 봉암사 선방에서 동안거 수행을 하고, 2년 뒤 다시 백담사 무문관 폐관 수행을 마치고 난 후 정여 스님의 수행 에세이집 『머무는 그 자리에서 행복을』을 냈다.
정여 스님은 현대판 ‘부루나존자’로 알려져 있다.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설법제일’로 알려진 부루나존자처럼 지금까지 많은 설법으로 포교에 나선 까닭이다. 고준한 진리를 이야기하고, 깊은 법담을 나누고, 광대한 설법을 하는 것만이 포교가 아니다. 쉽고 간결한 문장으로 삶에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다독이고 또는 단 한 문장으로 위로를 전하기도 한다.
행복,
행복은 여기에.
행복은 특정한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오.
서 있는 그대로
머무는 그곳에
행복이 함께한다오.
머무는 그곳에서
행복을 느껴라.
마음껏 행복에 취해라.
행복, 늘 여기에.
행복, 늘 나와 함께.
“여여(如如)한 본래의 그 자리를 깨우쳐 주는 것이 포교”라고 말하는 정여 스님은 특히 스스로의 본래 마음을 깨닫고 흔들리지 않는다면 어디에 머물러 있든지 늘 행복함을 일깨워 준다. 저자의 글을 읽다 보면 수행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자리에서 머무는 그대로 행복을 느끼고 당당히 제 갈 길을 가는 것’이 수행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 또한 그동안의 삶을 돌아보고 한번쯤 성찰하도록 이끄는 냉철한 가르침도 듣게 된다.
살아가면서 자신을 한번 바라보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욕을 하고 비방을 해도 마음이 편안한가를 바라보는 겁니다. 모든 말을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을 스스로 키워 나갈 때 이순(耳順)이 되는 것입니다.
남이 되려고도 하지 마십시오.
자신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나는 이미 이대로 완전합니다.
어리석게 나를 남과 비교하지 마십시오.
이대로 나는 부족함 없이 완전한 것입니다.
있는 그 자리에서 스스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제5장은 저자의 수행 이야기로 꾸며졌다. 70세에 봉암사 선방에서 동안거를 보낸 이야기, 2년 뒤 백담사 무문관에서 폐관 수행한 이야기, 그리고 오래전 오룡골에서 토굴생활을 할 때의 에피소드가 꾸밈없이 솔직담백하게 펼쳐진다. ‘오직 나의 길을 당당히 걸어가는’ 정여 스님의 수행 이야기는 모든 환경을 떠나서 내게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아름다운 삶의 모습임을 거듭 느끼게 한다.
문 없는 문에 들어와 보니 텅 빈 방,
홀로 지새울 내 방이다.
아무도 시비하지 않는 이곳 그 어떤 속박도 없는 곳이네.
문은 잠겨 나갈 수 없지만 마음은 새처럼 자유롭다.
정여 스님
벽파 대선사를 은사로 출가
【 수계 】
지유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 수지
고암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 수지
【 현재 】
대한불교조계종 법계위원회 위원, 대한불교조계종 여여선원 선원장
부산종교지도자협의회 상임대표, BTN불교텔레비전 중앙이사
(재)보현장학회 이사장, (사)세상을향기롭게 대표
(사)부산광역시불교복지협의회 이사장, 여산문학상 대표
【 안거 】
경북 김천 수도암, 경북 현풍 도성암, 경남 하동 쌍계사, 경북 문경 봉암사
전남 해남 대흥사, 강원 인제 백담사 무문관, 경북 포항 보경사
【 역임 】
범어사 주지, 부산광역시불교연합회 회장 및 이사장, 대한불교교사대학 설립 및 학장
사회복지법인 보현도량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범어 이사장
부산진구사회복지협의회 설립 및 회장, 여여선원 미얀마 한국선원 서울 가회동 개원
참여불교운동본부 이사장, 부산 · 경남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상임대표
부산종교인평화포럼 상임대표, 사단법인 파라미타청소년연합회 회장
부산광역시도덕성회복국민운동 총재
【 저서 】
『구름 뒤편에 파란하늘이』, 『구름 뒤편에 파란하늘』(상 · 하)
『알기 쉬운 금강경』, 『선의 세계』, 『마음의 풍경』, 『시로 읽는 금강경』
『진리의 바다』, 『나를 찾아가는 명상여행』, 『차나 한잔』
하나, 행복을 노래하다
아름다운 사람
무심하게 보고 들어라
나이 육십은 이순(耳順)이다
염불과 기도
마음 밭을 갈자
인생은 끝없는 도전이다
짐을 가볍게 져라
베푸는 사람이 되자
과거에 매이지 마라
내 안에 미래가 잠들어 있다
수행자에게 올리는 공양
생각이 병을 치료한다
비운 마음에 행복이
웃음은 꽃처럼
뿌린 대로 거둔다
부처님을 미워한 사람
하늘에는 때가 묻지 않는다
내려놓고 살아요
성취된다는 자신감
행복과 불행은 내가 만든다
선행 공덕은 나를 행복하게 한다
저녁노을 빛 하늘
자연처럼 소박하게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나
둘, 기적은 내 안에
마음에 무엇을
좋은 일은 따라만 해도
생각은 그림자 같은 것
수행자의 마음가짐
나는 성공할 수 있다
진정한 자유인
저녁 종소리
탐욕은
나는 누군가
본심은 항상 나와 함께
불행의 원인
조금만 더 비워 보세요
생각이 운명을 지배한다
나를 보게 하소서
집착하는 마음
마음은 파란 하늘 같은 것
집착으로 인해 고뇌가 온다
장좌불와(長坐不臥)
좌탈입망(坐脫立亡)
두려움은 스스로 만든다
내가 웃으면 주변도 웃는다
원한은 버림으로 사라진다
맑고 아름다운 마음
자신의 방식대로
기도는 소처럼 우직하게, 천천히
셋, 깨어 있는 사람
어린아이처럼 보라
행이 없는 사람
습관이 현재와 미래를 만든다
희망은 아름다운 것
맑게 깨어라
티 한 점 없는 마음으로
욕망을 찾는 어리석음
도인의 마음에는 흔적이 없다
행이 바른 수행자의 향기
좋은 친구
현재처럼 소중한 시간은 없다
작은 물방울의 힘
아귀
우리의 생각
대나무 속처럼 비워라
세월은 덧없이 흘러간다
수행이 깊어지면
흔들리지 않는 바위처럼
고독도 외로움도 삶의 일부
깨달은 성자의 마음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관념의 틀에 매이지 마라
넷, 나는 오직 나의 길을
극락과 지옥은 마음에서
마음의 근본을 깨닫는 일
흉내 내지 마라
함께 살아가는 세상
매사에 감사한 마음으로
진리는 한순간도
생명의 소중함
늘 그 자리인 것을
진정한 아름다움
자신의 건강을 지켜라
소중한 나의 삶
미운 감정을 사랑으로
길을 걸어갑니다
따로 무엇을 구하지 말라
분별심이 사라진 곳
그냥 듣기만 해라
모래성을 쌓는다
그리는 동안 행복했다
욕을 듣고 기분 좋은 사람은 없다
나누며 채워지는 행복
잘못을 고치면 업은 소멸된다
노숙인 빌리
다섯, 나를 돌아보다
봉암사 동안거 한철
대중 청소
백담사 무문관으로
백담사 무문관
무문관의 문이 잠기다
무문관에서
나를 바라본다
오룡골에서의 토굴 생활
오룡골 사람들
소중한 경험
감 따기
화롯불 욕심
옻이 올랐다
“여여(如如)한 본래의 그 자리를 깨우쳐 주는 것이 포교”
쉽고 간결한 문장으로 일러 주는
정여 스님의 위로의 법문
경북 김천 수도암, 현풍 도성암, 경남 하동 쌍계사 등 오랜 선원 생활을 마치고 포교 일선에 뛰어들어 범어사 주지, 참여불교운동본부 이사장 등을 역임하고 세상을향기롭게 대표를 지내는 등 20년을 포교하고 종심의 나이에 다시 선방 수행에 나선 정여 스님. 70세에 봉암사 선방에서 동안거 수행을 하고, 2년 뒤 다시 백담사 무문관 폐관 수행을 마치고 난 후 정여 스님의 수행 에세이집 『머무는 그 자리에서 행복을』을 냈다.
정여 스님은 현대판 ‘부루나존자’로 알려져 있다.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설법제일’로 알려진 부루나존자처럼 지금까지 많은 설법으로 포교에 나선 까닭이다. 고준한 진리를 이야기하고, 깊은 법담을 나누고, 광대한 설법을 하는 것만이 포교가 아니다. 쉽고 간결한 문장으로 삶에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다독이고 또는 단 한 문장으로 위로를 전하기도 한다.
행복,
행복은 여기에.
행복은 특정한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오.
서 있는 그대로
머무는 그곳에
행복이 함께한다오.
머무는 그곳에서
행복을 느껴라.
마음껏 행복에 취해라.
행복, 늘 여기에.
행복, 늘 나와 함께.
“여여(如如)한 본래의 그 자리를 깨우쳐 주는 것이 포교”라고 말하는 정여 스님은 특히 스스로의 본래 마음을 깨닫고 흔들리지 않는다면 어디에 머물러 있든지 늘 행복함을 일깨워 준다. 저자의 글을 읽다 보면 수행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자리에서 머무는 그대로 행복을 느끼고 당당히 제 갈 길을 가는 것’이 수행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 또한 그동안의 삶을 돌아보고 한번쯤 성찰하도록 이끄는 냉철한 가르침도 듣게 된다.
살아가면서 자신을 한번 바라보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욕을 하고 비방을 해도 마음이 편안한가를 바라보는 겁니다. 모든 말을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을 스스로 키워 나갈 때 이순(耳順)이 되는 것입니다.
남이 되려고도 하지 마십시오.
자신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나는 이미 이대로 완전합니다.
어리석게 나를 남과 비교하지 마십시오.
이대로 나는 부족함 없이 완전한 것입니다.
있는 그 자리에서 스스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제5장은 저자의 수행 이야기로 꾸며졌다. 70세에 봉암사 선방에서 동안거를 보낸 이야기, 2년 뒤 백담사 무문관에서 폐관 수행한 이야기, 그리고 오래전 오룡골에서 토굴생활을 할 때의 에피소드가 꾸밈없이 솔직담백하게 펼쳐진다. ‘오직 나의 길을 당당히 걸어가는’ 정여 스님의 수행 이야기는 모든 환경을 떠나서 내게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아름다운 삶의 모습임을 거듭 느끼게 한다.
문 없는 문에 들어와 보니 텅 빈 방,
홀로 지새울 내 방이다.
아무도 시비하지 않는 이곳 그 어떤 속박도 없는 곳이네.
문은 잠겨 나갈 수 없지만 마음은 새처럼 자유롭다.